139 354

Cited 0 times in

Hospitalizations and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

Other Titles
 태아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 환자들의 입원 및 사망 원인 분석 
Authors
 오소연 
Colleg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보건학과 
Degree
박사
Issue Date
2020
Abstract
Background: With nearly 10% of women consuming alcohol during pregnancy, 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s (FASD) are becoming an increasing concern for clinicians and policymakers interested in the field of neonatal healthcare. Known as the range of mental and/or physical disabilities that occur among individuals with prenatal alcohol exposure, FASDs can result in dysmorphic features, problems with physical growth, neurobehavioral and cognitive problems that not only increase risk of various diseases, but also premature mortality. Thus,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attemp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agnosis of FASDs result in increased risk of hospitalizations and mortality.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taken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National Sample Cohort (NHIS-NSC) between 2003 and 2013. A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ith age as the time-scale was employed to calculate adjusted hazard ratios and 95% CIs for hospitalizations and mortality among FASD populations compared to their general population peers. Results: Among the 3,103 FASD cases, 27.5% (n=853) experienced hospitalizations and 12.5% (n=387) di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ASD cases had increased risk of hospitalizations (HR: 1.25, 95% CI: 1.05-1.49, p=0.0114) and all-cause mortality (HR: 1.33, 95% CI: 1.07-1.67, p=0.0118). Those diagnosed with encephalopathy of all FASDs were at greatest risk of both hospitalizations (HR: 2.15, 95% CI: 1.29-3.59, p=0.0035) and death (HR: 2.04, 95% CI: 1.03-4.07, p=0.0422). The most common cause for hospitalization was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which FASD patients were 52 times more likely to be hospitalized for than their peers (HR: 51.78, 95% CI: 29.09-92.17, p<.0001). The most common cause for mortality was neoplasms although FASD patients did not have increased risk of neoplasm mortality than the general population (HR: 0.88, 95% CI: 0.59-1.32, p<.0001). FASD patients had greatest risk of increased mortality from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HR: 4.15, 95% CI: 1.54-11.17, p=0.0049) compared to their peers. Conclusions: Overall, this study found that individuals diagnosed with FASDs have increased risk of both hospitalizations and mortality, compared to their general population peers. This is particularly so for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which showed a 52-fold increase in hospitalizations and four-fold increase in mortality for FASD patients in our study.

서론: 최근 들어 임신 한 여성의 약 10%가 임신 기간 중 음주를 한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로 인해 임상의와 정책 수립자들의 태아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Fetal Alcohol Spectrum Disorders; FASDs)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졌다. 태아가 알코올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정신적 또는 신체적 장애의 범주로 알려진 FASD는 다양한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신경 행동 및 인지 문제 그리고 조기 사망의 위험을 높인다. 따라서 이 연구는 태아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 입원 및 사망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조사된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나이를 time-scale로 지정한 time-dependent Cox 비례 위험 모델을 통해 입원과 사망의 상대적 위험을 추정하고 95% CI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의 결과3,103명의 FASD 환자 중 27.5%(n=853)가 입원을 경험했으며, 12.5%(n=387)가 사망했다. 일반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FASD 환자들의 입원 (HR: 1.25, 95% CI: 1.05-1.49, p=0.0114) 및 사망 (HR: 2.04, 95% CI: 1.03-4.07, p=0.0422)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뇌병 진단을 받은 FASD환자의 입원 (HR: 2.15, 95% CI: 1.29-3.59, p=0.0035) 및 사망 (HR: 2.04, 95% CI: 1.03-4.07, p=0.0422) 위험이 증가했다. 입원 사유로는 신경계 질환으로 인한 입원이 일반 집단에 비해 가장 증가했다 (HR: 51.78, 95% CI: 29.09-92.17, p<.0001). 사망 사유로는 암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았으나 일반 집단에 비해 FASD 환자들의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HR: 0.88, 95% CI: 0.59-1.32, p<.0001). 신경계 질환의 경우 일반 집단에 비해 가장 사망 위험이 증가하였다 (HR: 4.15, 95% CI: 1.54-11.17, p=0.0049). 결론: FASD를 진단받은 환자는 일반 집단에 비해 입원 및 사망 위험이 높다는 것이 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특히 신경계 질환으로 인한 입원과 사망이 일반 집단에 비해 매우 높았다. 따라서FASD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 경제적 손실 및 이와 관련한 건강 문제들을 고려할 때, 태아기 알코올 노출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사회전반의 인식을 높이는 것이 매우 시급하다.
Files in This Item:
TA0260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9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