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1 435

Cited 0 times in

좌식시간과 인슐린 저항성의 연관성

Other Titles
 The association between sedentary time and Insulin Resistance 
Authors
 민솜이 
College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정책관리 
Degree
석사
Issue Date
2020
Abstract
Background: Insulin resistance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and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high blood pressure, metabolic syndrome, dyslipidemia and arteriosclerosis. As sedentary life increases due to the convenient lifestyle, recent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link between sedentary time and insulin resistance. Based on three years of national data, the study sought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sedentary time after using TyG index to obtain insulin resistance. In addition, we wanted to analyze the combined effect of sedentary time and modifiable lifestyle factors on insulin resistance. Through this, we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olicies and programs for adults in Korea by identifying whether practice of living habits can help prevent insulin resistance. Methods: The study used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between 2016 and 2018, with a total of 10,959 adults (4,736 males and 6,223 females) in Korea. The interesting variable is the sedentary time/waking time,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insulin resistance (TyG index). Independent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population, socioeconomic, health behavior, and other) and detailed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The lifestyle risk score was calculated for modifiable lifestyle factors, and interac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sedantery time and lifestyle risk score on insulin resistance. Data analysis performed basic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SAS program was used. Results: 48.1% of men had high insulin resistance and 42.6% of women had high insulin resistance. In men, insulin-resistant subjects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Th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edentary quartiles were not significant for both men and women. The longer the sedentary time of the study subjects, the significantly higher the insulin resistance. In men, insulin-resistant odds ratio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1.39 (95% CI: 1.16-1.66) to the largest group (Q4) and 1.24 (95% CI: 1.04-1.47) to the next largest group (Q3). In women, insulin-resistant odds ratio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1.24 (95% CI: 1.05-1.46) in the Q4 group and 1.22 (95% CI: 1.05-1.43) in the Q3 group. For male day workers, the greater the sedentary quartile, the greater the odds of insulin resistance (Q2: 1.34, Q3: 1.45, Q4: 1.52). For female unemployed, the odds ratio of insulin resistance in Q3 and Q4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Q3: 1.47, Q4: 1.33). When the group with the lowest risk score of lifestyle from Q1 group with the shortest sitting time to the reference group, the longer the sitting time and the higher the risk score of lifestyle, the higher the risk score of insulin resistance tended to increase. Conclusions: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dentary time of adults in Korea and insulin resistance. This can be thought that sedentary time may b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adults. Because insulin resistance can be high if sitting time is long and lifestyle is not goo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healthy lifestyle in adult health care.
배경 및 목적: 인슐린 저항성은 제 2형 당뇨병 발병 및 비만, 고혈압, 대사증후군, 이상지질혈증, 동맥경화증과 같은 대사질환 발생에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편리해진 생활양식으로 인해 좌식생활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 연구들은 좌식시간과 인슐린 저항성의 연관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3개년간의 국가데이터를 바탕으로 TyG index를 이용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구한 후 좌식시간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더불어 좌식시간과 수정 가능한 생활습관 요인이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생활습관의 실천이 인슐린 저항성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 파악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건강증진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16년~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우리나라 성인 총 10,959명(남자 4,736명, 여자6,223명)이다. 흥미변수는 앉아있는 시간/깨어있는 시간이고, 종속변수는 인슐린 저항성(TyG index)이다. 독립변수는 4가지 요인으로 분류(인구학적, 사회경제적, 건강행위, 기타)하여 세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수정 가능한 생활습관 요인에 대해 생활습관 위험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좌식시간과 생활습관 위험 점수의 결합이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호작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초통계 분석, 카이제곱 검정,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A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경우는 48.1%, 여성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경우는 42.6%로 남성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대상자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남, 녀 모두에서 좌식시간 사분위수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좌식시간이 길어질수록 인슐린 저항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남성에서 인슐린 저항성 오즈비가 좌식시간 사분위가 가장 작은 기준 집단(Q1)에 비해 가장 큰 집단(Q4)에서 1.39(95% CI: 1.16-1.66), 다음으로 큰 집단(Q3)에서 1.24(95% CI: 1.04-1.47)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성에서도 인슐린 저항성 오즈비가 기준 집단에 비해 Q4 집단에서 1.24(95% CI: 1.05-1.46), Q3 집단에서 1.22(95% CI: 1.05-1.43)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로형태에 따라 남성 주간근무자의 경우 좌식시간 사분위수가 커질수록 인슐린 저항성이 높을 오즈비가 커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Q2: 1.34, Q3: 1.45, Q4: 1.52). 여성 무직자의 경우 기준 집단과 비교 시 Q3, Q4 집단에서 인슐린 저항성의 오즈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Q3: 1.47, Q4: 1.33). 좌식시간이 가장 짧은 Q1 그룹에서 생활습관 위험 점수가 가장 낮은 0점인 그룹을 기준 그룹으로 하였을 때, 좌식시간이 길어질수록, 생활습관 위험 점수가 높을수록 인슐린 저항성이 높을 오즈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우리나라 성인의 좌식시간과 인슐린 저항성 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성인에서 좌식시간이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당뇨, 대사증후군 등 만성질환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좌식시간이 길면서 생활습관이 좋지 않을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 높을 수 있으므로, 성인 건강관리에 있어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A0259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9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