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9 607

Cited 0 times in

암환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미충족 의료의 관계

Other Titles
 Unmet medical needs according to time since cancer diagnosis 
Authors
 김호영 
College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정책관리 
Degree
석사
Issue Date
2020
Abstract
Cancer is the biggest part of life-threatening diseases in modern society, and the number of cancer patients increases due to aging and change of lifestyles.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disease prevention activities, the 5-year relative survival rate for cancer patients diagnosed in the last 5 years (2013-2017) is 70.4%, and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7 out of 10 people survive for more than 5 years. It is 1.3 times higher than the survival rate (54.1%) of cancer patients diagnosed about 10 years ago (2001-2005). Therefore, cancer began to be regarded as a chronic disease that requires long-term management, and the medical system is changing from acute disease management to chronic disease management. Studies on the relevance of unmet medical needs according to time since cancer diagnosis in cancer patients have been conducted in abroad. However, there have not yet been much studies on this subject in South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sample of 2,68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ancer, and who had data from the 4th (2007-2009) to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since cancer diagnosis and unmet medical needs.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marital status, living area, education, Household income, health security, private insurance), and health-related factors (cancer type, age at diagnosed with cancer, smoking, drinking, chronic disease,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considered as confounding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hips of unmet medical needs by time since cancer diagnosis (<1 year, 1<3 years, 3<5 years, 5<10 years, ≥10 years) were analyzed.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difference from unmet medical needs according to time since cancer diagnosis. Then, after controlling confounding variab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relationship about unmet medical needs according to time since cancer diagnosis. Unmet medical needs for cancer patients increased as survival period increased (“<1 year” is 7.6%, “1<3 years” is 11%, “3<5 years” is 13.4%, “5<10” is 13.6%, “≥10 years” is 17%),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4). When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factors were controlled, based on the group with “<1 year” after cancer diagnosis, odds ratio of unmet medical needs of the group with “5<10 years” was 2.32(95% CI 1.03-5.23), odds ratio of unmet medical needs of the group with “≥10 years” was 2.73(95% CI 1.16-6.4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Reasons for unmet medical needs were ‘economical reason (It is burdened with medical expenses)’, which was 35.14%. ‘slight symptoms (Symptoms are likely to improve over time)’ was 22.16%, ‘lack of time (it is not open at the desired time, I cannot empty the workplace, There is no one to look for child, etc)’ was 16.76%, ‘others (It is not a convenient location, It is difficult to make a reservation in the clinic)’ was 25.95%. This study utilized a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hich was a sample data representing national population of South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unmet medical needs according to time since cancer diagnosis, which has not been conducted in South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unmet medical needs were high in long-term survivors after cancer diagnosis. Therefore, policy and institutional approach are needed for long-term cancer survivors.
현대사회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질병은 암으로, 고령화 및 생활습관 변화로 인하여 암 발생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술의 발달, 질병의 예방활동으로 인하여 최근 5년간(2013년∼2017년) 진단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0.4%로, 10명 중 7명 이상은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약 10년 전(2001년∼2005년)에 진단받은 암환자의 생존율(54.1%)보다 1.3배 높은 수준이다. 이로인해 암을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으로 보기 시작했고 의료체계도 기존의 급성질환 위주에서 만성질환 관리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암환자를 대상으로 생존기간에 따른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국외에서는 이루어졌지만 국내에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2009)부터 제7기(2016∼2018)까지 자료로 총 2,681명의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생존기간에 따른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인구 사회학적 특성(연령, 성별, 결혼 상태, 지역, 교육 수준, 가구 소득 수준, 건강보험, 민간보험), 건강 관련 특성(암종, 암 진단 시 연령, 흡연, 음주, 만성질환, 주관적 건강상태) 요인을 통제하여 암 진단 후 생존기간(1년 미만, 1∼3년 미만, 3∼5년 미만, 5∼10년 미만, 10년 이상)에 따른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암환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미충족 의료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고 혼란변수들을 통제한 후 암환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암환자의 미충족 의료는 1년 미만 7.6%, 1∼3년 미만 11%, 3∼5년 미만 13.4%, 5∼10년 미만 13.6%, 10년 이상 17%로 생존기간이 증가할수록 미충족 의료가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4).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암 진단 후 1년 미만인 군을 기준으로 5~10년 미만 군의 오즈비는 2.32(95% CI 1.03-5.23), 10년 이상 군의 오즈비는 2.73(95% CI 1.16-6.44)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미충족 의료 발생 사유로는 경제적 문제(진료비가 부담되어서)가 35.14%, 증세가 가벼워서(시간이 지나면 좋아질 것 같아서) 22.16%, 시간이 없어서(내가 원하는 시간에 문을 열지 않아서, 직장 등을 비울 수 없어서, 아이를 봐줄 사람이 없어서 등) 16.76%, 기타(교통편이 불편해서, 거리가 멀어서, 병의원에 오래 기다리기 싫어서 등) 25.95% 이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민을 대표하는 표본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국내에서는 많이 연구가 되지 않은 암 진단 후 생존기간에 따른 미충족 의료의 관련성을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암 진단 이후 5~10년 미만, 10년 이상의 장기 생존자들에게서 미충족 의료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에 암환자인 장기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책적,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Files in This Item:
TA0258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92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