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6 606

Cited 0 times in

한국 여성에서 폐경 시기가 심장 및 뇌혈관질환 사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Age at Menopause on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mortality in Korean Women 
Authors
 김영선 
College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통계전공 
Degree
석사
Issue Date
2020
Abstract
We analyzed the data from the KoGES(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population-based cohort, linked to the Statistics Koreas’s death dat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menopausal age with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mortality risk among Korean women. This study included 48,117 women out of 136,725 participants in the cohort, excluding women with hysterectomy and uterus history. Menopause age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early and premature menopause (before 45 years old), relatively early menopause (45-49 years old), normal menopause (50-54 years old), and late menopause (after 55 years old).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adjust for potential confounding variables such as age, income, region, drinking, smoking, physical activity, chronic disease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body mass index, menarche age, and first pregnancy age. Our results showed that for total mortality, after controll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the risk of deat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early and premature menopause (<45) than in the reference group (50-54)(HR=1.60, 95% CI:1.24-2.06). The women with relatively early menopausal population(45-49) also had an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total mortality (HR=1.21, 95% CI:1.02-1.44). The hazard ratio of late menopause population(55≦) was 1.18(95% CI:0.95-1.48). The analysis results of cardiovascular mortality showed that the early and premature menopausal women had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cardiovascular mortality compared to those with the reference group (Hazard Ratio=2.18, 95% CI: 1.05-4.54). However, insignificant hazards ratios were estimated for relatively early menopausal women, and late menopausal women were 1.15 (95% CI:0.62-2.12), and 0.99 (95% CI:0.45-2.20), respective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arlier the menopause, the higher the risk of death from heart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mortality was decreased in the early and premature menopause group(HR=0.32), and was increased in the relatively early menopause group(HR=1.76), and late menopause group(HR=1.52), while thes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out study suggests that early menopausal age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ath from heart disease in Korean women, but such association was not apparent for cerebr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addition, menopause before the age of 50 had an effect on an increased risk of all-cause mortality, but similar increased risk was observed among women with late menopause at age later than 55. Further research to confirm these associations an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will be needed.
우리나라 여성들을 대상으로 폐경 시기와 심혈관 사망 및 뇌혈관 사망위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KoGES(한국인유전체역학 조사사업) 일반인 기반자료와 2018년 12월까지 사망자료가 연계된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 연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코호트 참여 여성 136,725명 중 폐경을 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자궁적출술 및 자궁암 과거력이 없으며 사망자료가 미연계된 자료를 제외한 48,117명으로 하였다. 폐경 시기는 정상 폐경(50-54세)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조기 및 이른 폐경(45세 이전), 상대적 이른 폐경(45-49세), 늦은 폐경(55세 이후)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은 연령, 수입, 지역, 음주, 흡연, 운동 여부, 만성질환 이환 여부(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체질량지수, 초경 나이, 첫 임신 시 나이를 포함한 교란변수를 통제하는 통제모형을 구축하여 콕스비례위험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사망에서는 모든 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기준 집단(50-54세) 보다 조기 및 이른 폐경(45세 미만)에서 사망위험이 1.60배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95% CI=1.24-2.06). 상대적 이른 폐경(45-49세) 집단도 기준 집단(50-54세)보다 사망위험이 1.21배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95% CI=1.02-1.44). 늦은 폐경(55세 이상) 집단은 기준 집단보다 전체사망 위험이 1.18배(95% CI=0.95-1.548)였다. 심혈관 질환 사망에서 모든 요인을 통제했을 때 조기 및 이른 폐경(45세 미만)이 기준집단(50-54세) 보다 사망위험이 2.18배(95% CI=1.05-4.54)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 이른 폐경(45-49세)는 기준집단(50-54세) 보다 심장질환 사망위험이 1.15배(95% CI=0.62-2.12) 높았으며, 55세 이상에서 폐경 한 여성은 0.99배(95% CI=0.45-2.20)로 나타나 폐경연령이 빠를수록 심장질환 사망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뇌혈관질환 사망에서는 모든 요인을 통제했을 때, 조기 및 이른 폐경군에서 뇌혈관 사망위험이 0.32배, 상대적 이른 폐경군에서 1.76배, 늦은 폐경군에서 1.52배 높아 폐경 시기에 따라 뇌혈관질환 사망이 증가하지 않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폐경기 나이와 전체 사망위험에 일부 위험인자가 영향이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 하위그룹 분석결과, 흡연 경험이 있는 집단과 초경 연령이 16세 미만인 집단에서 폐경이 이를수록 전체 사망위험이 더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 여성에서 폐경 시기가 심장질환 사망위험 증가에 영향이 있으며 뇌혈관 질환 사망에는 폐경 시기가 사망위험을 증가시키는 근거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또한, 50세 이전 폐경에서는 폐경이 이를수록 전체사망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55세 이후에도 사망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여, 우리나라 여성에서 55세 이후 사망이 증가하는 원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A0259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91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