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8 499

Cited 0 times in

단기 입원형 금연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와 금연 성공 관련 요인

Other Titles
 Effects of short-term inpatient smoking cessation treatment programs and factors related to success in quitting smoking 
Authors
 김성희 
College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건강증진교육전공 
Degree
석사
Issue Date
2020
Abstract
중증고도 흡연자는 20년 이상의 흡연력이 있고, 2회 이상 금연실패를 경험했지만 금연의지가 높은 흡연자, 흡연 관련 질병 진단 후에도 흡연을 계속하는 자이다. 보건복지부는 2015년 4월 전국 17개 시·도에 지역 금연지원센터를 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단기 입원형 금연치료 프로그램인 전문치료형 금연캠프를 제공하고 있다. 금연프로그램의 성공 요인들이 검증되었지만 대부분 금연 초기 효과 검증이며, 장기간 추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단기 입원형 전문치료 프로그램 참가자 중 6개월 이상 금연을 유지하고 있는 금연성공자의 금연 성공률과 그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5년 5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경기도 소재 일개 지역금연지원센터에서 4박 5일간 입원형 금연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6개월 금연성공자는 전체 909명 중 596명(65.56%), 남성 성공자는 818명 중 538명(65.77%), 여성 성공자는 91명 중 58명(63.74%)이었다. 6개월 금연 성공률은 남성 65.77%, 여성 63.77%였다. 연령이 60대(74.72%) 이상인 경우가 40~49세(55.72%)보다, 총 흡연 기간 40~50년 이상(75.9%)으로 총 흡연 기간이 긴 경우가 30년 미만 (58.71%)으로 짧은 경우보다, 처음 흡연 시작 연령이 높은 경우, 니코틴 의존도가 0~3점 미만으로 낮은 경우, 금연 약물치료를 받은 경우, 금연 전, 후 자신감이 높은 경우, 상담횟수가 많은 경우, 흡연량이 적은 경우, 계절별 참여 시기가 6~8월로 여름에 참여한 경우에 6개월 금연 성공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중증고도 흡연자의 단기 입원형 금연치료 프로그램에서 금연에 대한 자신감을 충분히 높이고, 약물치료, 특히 사후 상담횟수가 많은 경우 6개월 성공유지와 관련이 많았다. 6개월 금연 성공률 및 금연 성공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중증고도 흡연자를 위한 금연 지원 서비스의 개선과 보다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k Ground: since 2015,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lected regional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s in 17 cities and roads nationwide to provide specialized treatment smoking camps, which are short-term hospitalization smoking cessation treatment programs centered on severely smokers. Although the success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have been verified, they are mostly verification of the early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and long-term follow-up is lacking.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909 paticipants who admitted to smoking cessation program of Gyeonggi Province Local Smoking Cessation Center, between May,2015 and December, 2018. Participants are severely smokers. They provided smoking cessation treatment and counseling, prescribing medicines, and measured CO at 2, 4, 12, and 24 weeks after completing the camp. We conducted a urinary cotinine test during the 12th and 24th week of the Nesso face-to-face consultation, and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o maintain smoking cessation by telephone consultation while not visiting. Calculate the success rate of smoking cessation at 3 months and 6 months from all participants, and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6 months smoking cessation succes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f the age at the beginning of smoking is high, nicotine dependence is 0 to less than 3 points, smoking cessation drug treatment is taken the success rate of 6-month smoking cess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re was high confidence before and after smoking, number of consultations was high, amount of smoking was low, participating in the summer.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when the number of consultations conducted after the cessation camp was large. Non-smoking success (OR 10.64 [95%CI 6.68~16.95]), and non-smoking success (OR 13.58 [95%CI 5.88~31.35]) if it is 7~9 times compared to 6 or less. Conclusion: After analyzing the success rate of smoking cessation for six months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and operate smoking cessation support services for heavy smokers.
Files in This Item:
TA0257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9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