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9 1742

Cited 0 times in

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관련 지식, 간호자신감 및 스트레스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향-
dc.date.accessioned2020-12-22T05:49:04Z-
dc.date.available2020-12-22T05:49:0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89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im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elirium-related knowledge, confidence in delirium care, and delirium-related stress, as well as the impact on this last factor from both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the first two factors mentioned. The study enrolled 109 nurses work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of a general hospital in Gangwon Province. Delirium-related knowledge was assessed using a tool developed by Cho (2001) and modified by Park (2011); confidence in delirium care by the self-confidence in caring for patients with delirium tool developed by Akechi et al. (2010)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Kim (2014); and delirium-related stress by a tool developed by Kim (1989) and modified by Park (2011).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April 15, 2020, cod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IBM® SPSS® 25.0 for WIN to calculat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erform the Kolmogorov–Sminov tes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key findings were: 1) From a score of 100, the means of delirium-related knowledge, confidence in delirium care, and mean delirium-related stress were 64.2, 57.5, and 79.6, respectively. 2) In terms of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higher levels of delirium-related stress were experienced by women more than men (t=–4.40, p=.000), nurses in their 30s rather than their 20s (F=4.05, p=.020), with longer clinical careers (r=.25, p=.008), and longer ICU careers (r=.22, p=.021). 3)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rium-related knowledge, confidence in delirium care, and delirium-related stress, as knowledge increased, so did stress (r=.34, p=.000) and confidence (r=.32, p=.001). 4) Predictors of delirium-related stress were delirium-related knowledge (β=.30, p=.001), and gender (β=.29, p=.008); stress increased with greater knowledge and among women. These predictors explained 18.6% of the variance in delirium-related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fore, show that delirium-related stress increases among ICU nurses with a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the symptoms and assessment of delirium but little about risk factors and intervention. Consequently, they struggle to provide preventive care or administer appropriate interventions on the onset of dementia symptoms. It can be concluded that ICU nurses need not only accurate and systematic education on the risk factors, prevention, symptoms, diagnostic methods, prognosis, treatment, and care of patients with delirium but also relevant strategies to manage stressful situations related to delirium care in the ICU.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섬망지식, 섬망간호자신감 및 섬망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상자 특성, 섬망지식, 섬망간호자신감이 섬망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강원도 소재 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1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섬망지식은 박용숙(2011)이 조귀래(2001)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보완한 도구, 섬망간호자신감은 김문자(2014)가 Akechi 등(2010)의 ‘Self-confidence in Caring for Patients with Delirium(SCPD)’도구를 번역 및 수정·보완한 도구, 섬망스트레스는 박용숙(2011)이 김연태(1989)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4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Kolmogorov-Sminov, 빈도,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le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각 변수 정도는 100점 만점에 섬망지식은 평균 64.2점, 섬망간호자신감은 평균 57.5점, 섬망스트레스는 평균 79.6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각 변수의 차이는 섬망스트레스는 여성이 남성보다(t=-4.40, p=.000), 30대가 20대보다(F=4.05, p=.020) 높았고, 총 임상경력이 높을수록(r=.25, p=.008), 중환자실 경력이 많을수록(r=.22, p=.021) 섬망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섬망지식, 섬망간호자신감, 섬망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섬망지식이 높을수록 섬망스트레스가 높았으며(r=.34, p=.000), 섬망지식이 높을수록 섬망간호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r=.32, p=.001). 4) 대상자의 섬망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섬망지식(β=.30, p=.001)과 성별(β=.29, p=.008)로 섬망지식이 섬망스트레스를 높였으며 여성이 섬망스트레스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망지식과 성별이 섬망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설명율이 18.6%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에서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섬망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섬망지식이 높을수록, 여성간호사가 섬망스트레스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섬망 교육 제공 시에 여성이 80%이상으로 구성된 중환자실 간호사들에게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병동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높은 섬망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교육뿐 아니라 중환자실에 입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섬망 위험요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위험요인 사정과 주기적인 모니터링으로 섬망 발생 빈도 감소와 섬망 증상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지침 등을 의료팀과 협력적으로 마련하여 실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중환자실 간호사의 섬망관련 지식, 간호자신감 및 스트레스-
dc.title.alternativeNurses' Knowledge, Confidence, and Stress on Delirium in ICU-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연세대학교 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i Hya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