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 510

Cited 0 times in

대한민국 중장년 남녀에서 요인분석을 이용한 식이패턴과 사망의 연관성 분석

Other Titles
 Dietary Patterns and the risk of total mortality in Korean Adults 
Authors
 곽민정 
College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epartment
 보건통계전공 
Degree
석사
Issue Date
2020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major dietary patterns of middle-aged people living in the nation's big cities an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patterns and total death. The urban-based cohort data contains data such as health conditions, lifestyle and past disease history of about 170,000 people through a four-year cycle from 2004 to 2012, and is linked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death cause data accumulated until December 2017. Based on the food intake frequency survey, dietary pattern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using the daily intake of extracted foods, and the association with the extracted dietary patterns and total death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five major dietary patterns were extracted. The first factor was the "healthy diet" pattern due to the relatively high loadings of vegetables, pumpkins, mushrooms, tofu, beans, kimchi, crop, and seafood. The second factor was the "meat diet" diet pattern due to the high loadings of pork, beef, chicken, seafood, ham and sausages, fish cakes, cola or soda. The third factor is the "fresh food diet" pattern, which has high levels of loading factors such as dairy products, milk, fruit, kelp, laver, seafood, seaweed, citron tea, plum tea, aloe, and sojeonggwa. The fourth factor is the "carbohydrate-oriented diet" pattern, which is loaded with bread such as bread, sandwiches, toast, red bean bread, hoppang, hoppang and green tea bread, snacks such as cakes, pizza and hamburgers, cookies, crackers, eggs, almonds, peanuts, cereals, rice cakes, ham and sausages. Lastly, the fifth factor was named the "instant meal pattern" because of the high loading price of bread such as kalguksu, udon noodles, dumplings, rice cakes, instant noodles, bread, sandwiches, toast, red bean bread, hoppang, and green tea bread, pizza and hamburgers, soft drinks, pork, and cakes from muk, cola or cid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o explain the effect of dietary patterns on death as risk by diet pattern, the 2nd quartile was 1.012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0.845-1.155), the 3rd quartile 0.981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0.851-1.13), and the 4th quartile 0.988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0.85-1.155). However, there has been a trend in which the greater the health diet, the lower the risk of death. In the pattern, the "meat diet" formula tended to increase the risk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0.937 times the 2nd quartile (95% confidence interval: 0.815-1.177), 1.051 times the 3rd quartile (95% confidence interval: 0.911-1.214), and 1.008 times the 4th quartile (95% confidence interval: 0.854-1.191) compared to the 1 quartile. The higher the meat intake, the higher the mortality rate. In the dietary pattern of the "fresh food diet" , which consumes a lot of dairy, milk and fruit, compared to the first quartile, the second quartile was 1.035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0.909 - 1.178), the third quartile was 0,94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0.818 - 1.079), and the fourth quartile 0.993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0.855 - 1.152). In "carbohydrate-oriented diet" such as bread and cakes, the risk of death was 0.899 times higher (95% confidence interval: 0.787 - 1.026), the third quarter was 0.984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0.859 - 1.126), and the fourth quarter was 1.031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0.892 - 1.193), compared to the first quarter, the higher the risk of death. In the "instant diet," which consumes a lot of noodles, dumplings, rice cakes, instant noodles, bread, pizza and hamburgers, the second quartile is 1.148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1.002 - 1.315), the third quartile is 1.045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0.907 - 1.204), and the fourth quartile is 1.145 times (95% confidence interval: 0.986 - 1.328). In conclusion, meat dietary pattern such as pork and beef, carbohydrate-oriented diet such as bread and cake, and instant food such as noodles, dumplings, pizza, and hamburgers are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deaths, and fresh product diet, which consumes a large amount of vegetables, pumpkins, mushrooms, fish, and dairy products, may be related to the decrease of total death.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e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도시에 사는 중장년의 주요한 식이패턴을 추출하고 식이패턴과 전체 사망의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인 도시 기반 코호트’는 40~69세 일반인 집단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12년까지 4년 주기로 반복조사를 통해 약 17만 명의 건강상태, 생활습관, 과거 질병력 등의 자료를 포함하고 있으며 2017년 12월까지 누적된 통계청 사망원인자료와 연계하였다. 식품섭취 빈도조사 결과 추출된 식품의 하루 섭취량을 이용하여 요인 분석을 통한 식이패턴을 추출하였으며, 그 결과 추출된 식이패턴들과 전체사망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섯 종류의 주요한 식이패턴이 추출되었다. 첫 번째 요인은 채소, 호박, 버섯, 두부, 콩, 김치, 곡물, 생선류 등의 요인 적재값이 상대적으로 높아 “건강식단”식이패턴이라 하였다. 두 번쨰 요인은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생선류, 햄 및 소세지, 어묵, 콜라 또는 사이다와 같은 청량 음료 등의 요인 적재값이 높아 “육식식단” 식이패턴이라 하였다. 세 번째 요인은 유제품, 우유, 과일, 다시마, 미역, 생선류, 김, 유자차, 매실차, 알로에, 수정과 등과 같은 건강한 음료 등의 요인 적재값이 높은 “신선식품 식단”식이패턴이라 명했다. 네 번째 요인은 식빵, 샌드위치, 토스트, 팥빵, 호빵, 풀빵 등의 빵류, 케이크, 피자 및 햄버거, 쿠키, 크래커와 같은 스낵, 계란, 호두, 아몬드, 땅콩류, 시리얼, 떡, 햄 및 소세지 등의 요인 적재값이 높은 “탄수화물 위주 식단” 식이패턴이라 명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요인은 칼국수, 우동 등의 국수류, 만두, 떡, 라면, 식빵, 샌드위치, 토스트, 팥빵, 호빵, 풀빵 등의 빵류, 피자 및 햄버거, 묵, 콜라 또는 사이다의 청량음료, 돼지고기, 케이크 등의 요인 적재값이 높아 “인스턴트식단”식이패턴이라 명했다. 식이패턴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식이패턴별 위험도로 설명하고자 분석한 결과 “건강식단” 식이 패턴에서는 하위 25%에 해당하는 1사분위에 비해서 2사분위는 1.012배(95% 신뢰구간: 0.845-1.155), 3사분위는 0.981배(95% 신뢰구간: 0.851-1.13), 4분위는 0.988배(95% 신뢰구간: 0.845-1.155) 위험하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건강식단을 많이 할수록 사망할 위험이 줄어드는 경향은 볼 수 있었다. “육식식단”식이 패턴에서는 1사분위에 비해 2사분위 0.937배(95% 신뢰구간: 0.815-1.177), 3사분위 1.051배(95% 신뢰구간: 0.911-1.214), 4사분위 1.008배(95% 신뢰구간: 0.854-1.191) 위험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고기 섭취가 높을수록 사망률이 높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제품 및 우유, 과일을 많이 섭취하는 “신선식품식단”식이 패턴에서는 1사분위에 비해 2사분위는 1.035배(95% 신뢰구간: 0.909 - 1.178), 3사분위는 0,94배(95% 신뢰구간: 0.818 - 1.079), 4사분위는 0.993배(95% 신뢰구간: 0.855 - 1.152) 사망위험을 보였다. 빵, 케이크 등의 “탄수화물위주 식단”에서는 1사분위에 비해 2사분위는 0.899배(95% 신뢰구간: 0.787 - 1.026), 3사분위는 0.984배(95% 신뢰구간: 0.859 - 1.126), 4사분위는 1.031배(95% 신뢰구간: 0.892 - 1.193) 사망위험을 보여 탄수화물 위주로 많이 먹을수록 높은 사망위험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국수류, 만두, 떡, 라면, 빵, 피자 및 햄버거를 많이 섭취하는 “인스턴트식단”에서는 1사분위에 비해 2사분위는 1.148배(95% 신뢰구간: 1.002 - 1.315), 3사분위는 1.045배(95% 신뢰구간: 0.907 - 1.204), 4사분위는 1.145배(95% 신뢰구간: 0.986 - 1.328) 사망위험을 보여 인스턴트식단을 많이 먹을수록 높은 사망위험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돼지고기, 소고기 등의 육식위주의 육식식단, 빵, 케이크등의 탄수화물 위주 식단과 국수, 만두, 피자 및 햄버거와 같은 인스턴트 식단은 전체사망의 증가와 관련이 있고, 채소, 호박, 버섯, 생선 등을 많이 섭취하는 건강식단이나 과일, 유제품 등을 섭취하는 신선제품식단은 전체사망의 감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A0259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089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