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509

Cited 0 times in

대학병원 간호사의 교대 근무 형태에 따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Other Titles
 The effect of shift work on social psychological stress in hospital nurse 
Authors
 김지우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19
Abstract
목적: 불규칙적인 대학병원 간호사의 교대 근무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서울의 S 대학병원에 종사하는 간호사 중 교대 근무를 하는 자 843명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 최근 4주간 교대 근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자가기입형 설문지를 진행하였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PWI-SF 질문을 사용하였다. PWI-SF를 종속변수로 하였고 개인적 특성, 최근 4주간 교대 근무 현황에 따른 종류별 교대 근무 횟수, 연속 횟수, 변화 횟수를 독립변수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교대 근무 횟수에 따른 결과로 밤 근무 횟수는 증가할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0회를 기준으로 할 때 5회 이상인 경우 오즈비가 2.60이었다. 오후 근무 및 오전 근무는 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속적인 교대 근무 횟수에 따른 결과로 연속적인 밤 근무 횟수가 2회, 3회 이상일 때 각각 오즈비가 2.43, 2.91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연속적인 오전 및 오후 근무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교대 근무 변화 횟수에 따른 결과로 변화 횟수가 많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증가하였다. 11회 이하를 기준으로 했을 때 14-15회, 16회 이상일 때 오즈비가 각각 1.53, 1.71이었다. 결론: 밤 근무 횟수는 3회 이상부터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아진다. 오전 및 오후 근무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다. 연속 횟수는 밤 근무의 경우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2회 이상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연속 횟수가 많아질수록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오전 및 오후 근무는 연속 횟수 증가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대 근무 변화 횟수의 경우 11회 이하를 기준으로 할 때 15회 이상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14-15회, 16회 이상일 때 오즈비는 각각 1.53, 1.71이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ift work of irregular university hospital nurses on social psychological stress. Methods: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shift work for the last 4 weeks, and social psychological stress was conducted on 843 nurses working at shifts in S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social psychological stress was assessed using the PWI-SF questionnaire. PWI-SF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number of shifts, the number of consecutive times, and the number of change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ypes of shifts according to the current 4-week shifts as independent variab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number of shifts, the odds ratio was 2.60 when the number of nights worked increased and the social psychological stress was 5 times or more when it was 0 tim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fternoon and morning shifts. As a result of continuous shift work, odds ratio was 2.43 and 2.91, respectively, when the number of consecutive nights worked more than 2 times and 3 times or more, respectively. The effect of continuous morning and afternoon work on social psychological stress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number of shifts in shift work, the social psychological stress increased as the number of shifts increased. The odds ratio was 1.53 and 1.71, respectively, when it was 14-15 times and 16 times or more, respectively. Conclusion: The number of nights worked more than 3 times, psychological stress increases. Morning and afternoon work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n social psychological stress. The number of consecutive times affects social psychological stress at nigh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wo or more times, and the number of consecutive times increased sharply. Morning and afternoon work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increasing number of consecutive times.
Files in This Item:
TA0223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829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