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 313

Cited 0 times in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liver enzymes :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examination survey (2007-2015)

Other Titles
 한국인 근로자에서 교대근무와 간수치의 관련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15)를 이용한 단면연구 
Authors
 최현경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gree
박사
Issue Date
2019
Abstract
Background : Shift work has well-known adverse effects on health.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hepatic disorder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abnormal level of liver enzymes. Methods : The aggregated data from the 2007–2009, 2010–2012, and 2013–2015 cycle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as used for this study. The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abnormal level of liver enzymes stratified by gender. Results : The odds ratio of abnormal level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bnormal ALT) in female shift workers was higher with 1.31 (95% CI 1.00-1.71) compared with day workers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After dividing into subgroups of the shift work pattern, the odds ratios of abnormal liver enzymes for each patterns compared with day work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s limited support for the hypothesis that shift work is related to liver enzyme abnormalities, but offers some evidence in favor of the idea that shift work affects female workers more than males on abnormal AL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abnormal liver enzymes to be carried out as well as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association.

배경 : 주간근무와 달리 교대근무는 일주기 리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심혈관질환, 당뇨병, 대사증후군 및 유방암과 같은 다양한 건강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교대근무의 건강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교대근무와 간건강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교대근무와 비정상 간수치 사이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2007–2009, 2010–2012, 2013–2015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단면 조사 연구이다. 직업력, 혈청 내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AST),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수치, 연령, 성별, 흡연상태, 음주상태, 수면시간, 체질량지수, 신체활동 및 과거력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룹 간 일반적 특성은 Chi-square test 및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교대근무와 비정상 간수치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연도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SPSS version 23을 사용하였다. 결과 : 연령, 성별, 흡연상태, 음주상태, 수면시간, 체질량지수, 신체활동 및 과거력을 보정한 후 주간근무자에 비해 여성 교대근무자에서 비정상 ALT에 대한 오즈비가 1.31 (95% CI 1.00-1.71)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교대 근무 패턴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비정상 간수치에 대한 오즈비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교대근무가 비정상 간수치와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제한적으로 뒷받침하였다. 또한 교대근무가 남성보다 여성 교대근무자에게 비정상 ALT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교대근무와 비정상 간수치와의 관련성와 그 성별에 따른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A0230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821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