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5 315

Cited 0 times in

The use of nasopharyngeal electrodes in temporal lobe epileps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수환-
dc.date.accessioned2020-07-16T16:43:17Z-
dc.date.available2020-07-16T16:43:17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8215-
dc.description.abstractObjective: To compare EEG recording with both anterior temporal (ATE) and nasopharyngeal electrode (NPE) (NPE recording) with EEG recording with only ATE (non-NPE recording) for the detection of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 (IEDs) and bilateral independent IEDs in patients with temporal lobe epilepsy (TLE).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initial EEGs which were recorded simultaneously with ATE and NPE in addition to 10-20 system electrodes in 229 patients with TLE. Two data sets of NPE and non-NPE recordings were reviewed independently by three interpreters with different experience. Discordant findings in interpretation among three interpreters were corrected by a consensus through elaborate review of EEG recordings, resulting in final results. Results: Diagnostic sensitivity of IEDs in NPE/non-NPE recording was 60.3%/27.1% in beginner, 69.0%/49.8% in junior expert, and 74.2%/52.0% in senior expert. In the final results, IEDs were detected in 76.4% with NPE compared to 55.5% with non-NPE (p < 0.001). Bilateral IEDs/EEG recording of detected IEDs were found in 26/127 with non-NPE and 60/175 with NPE (p < 0.001). Diagnostic yield of NPE for the detection of IE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mesial and non-lesional TLEs. Agreement degree for the detection of IEDs among three interpreters in NPE was higher than that in non-NPE (κappa score 0.703 versus 0.536). Conclusion: EEG recording by using NPE in combination with the standard electrodes and ATE may improve the sensitivity and the level of agreement in the detection of IEDs in TLE regardless of different experience of EEG interpretation. Furthermore, application of NPE could enhance the detection of bilateral IEDs. 배경: 10-20 전극 체계 전극으로만 시행한 뇌파로 뇌전증모양파 확인이 어려운 측두엽 뇌전증의 비율은 적지 않다. 이러한 측두엽 뇌전증에 대한 정확한 뇌파 검사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전극 중에 하나인 비인두 전극은 선행 연구에서 그 임상적인 의미와 뇌파 판독의 유용성은 아직까지 논란이 있는 상황이다. 연구목적: 전측 측두엽 전극과 비인두 전극을 이용하여 측두엽 뇌전증의 뇌파 판독을 할 때 뇌전증모양파의 발견율과 병소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측두엽 뇌전증의 아형에 따라 각각의 추가 전극의 특장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측두엽 뇌전증 환자들 중에서 비인두 전극과 전측 측두엽 전극이 동시에 사용된 229명 환자들의 뇌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뇌파는 두개의 군으로 구분하여 10-20 전극 체계에 전측 측두엽 전극만을 사용하여 판독한 군과 전측 측두엽 전극과 비인두 전극을 모두 사용한 군으로 구분하였다. 판독은 2명의 뇌파 전문가와 1명의 뇌파 입문자가 독립적으로 판독하였다. 이후 판독에 대한 불일치를 보이는 것이나 애매한 소견에 대한 의견합의 절차를 거쳤다. 결과: 뇌파 입문자와 2명의 전문가에 대한 비인두 전극/전측 측두엽 전극에 대한 뇌전증모양파의 발견율은 각기 순서대로 60.3%/27.1%, 69.0%/49.8%, 74.2%/52.0% 비인두 전극을 적용한 군이 뇌파의 경험과 관계없이 높게 확인되었다 (p < 0.001). 비인두 전극을 이용한 군이 판독자간의 판독 일치율도 의미 있게 상승하였다(κappa 0.703 versus 0.536). 또한, 비인두 전극의 사용은 내측두엽과 비병소 측두엽에서 유의미하게 뇌전증 모양파가 확인되었다.(p < 0.001). 결론: 비인두 전극을 이용한 뇌파 판독은 뇌전증모양파의 발견에 의미있게 도움을 준다. 특히, 내측두엽과 비병소 측두엽의 뇌파를 판독하는 경우에 비인두 전극의 적용 효과가 확실하게 확인되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formatapplication/pdf-
dc.publisher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The use of nasopharyngeal electrodes in temporal lobe epilepsy-
dc.title.alternative측두엽 뇌전증에서 비인두 전극의 유용성-
dc.typeThesis-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im, Soo Hwa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