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321

Cited 0 times in

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gastrointestinal cancer risks based on a nationwide cohort data

Other Titles
 폐경기 호르몬 대체요법이 소화기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 공단 자료를 이용한 코호트 연구 
Authors
 남지형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gree
박사
Issue Date
2019
Abstract
배경: 여성 호르몬은 장 발암과정 (intestinal carcinogenesis)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폐경기 호르몬 대체요법과 대장암 발생에 관한 많은 임상 연구들이 보고되었지만, 동양에서 시행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이 소화기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용량-반응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의 표본 데이터를 사용 하였다. 디자인은 성향 점수 (propensity score)를 이용한 매칭 코호트 연구로, 총 133,690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2004년부터 2013년 사이에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한 여성 22,577명과 이에 대한 1:5 매칭 대조군 111,113명을 대상으로 소화기암 발생률과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통계 분석은 카플란-마이어 (Kaplan-Meier) 생존 분석과 Cox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였다. 모형은 나이, 거주지, 소득 수준, 동반질환 지수 (Charlson comorbidity index), 코호트에 등록된 연도를 포함하였다. 여성호르몬의 종류와 용량에 따른 하위그룹분석을 시행하였고, 용량-반응 관계는 Landmark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추적 기간은 중앙값 79.6개월이었다. 소화기암 발생률은 호르몬 복용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100,000인년 당 0.13과 0.16 이었다. 카플란-마이어 생존 곡선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을 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소화기암 발생률이 낮았고 (P=0.0089), 위암과 대장암 발생률 역시 호르몬 복용군에서 낮은 경향이 있었다 (P=0.0887 및 P=0.0517). Cox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다변량 분석에서, 호르몬 복용군에서 소화기암 및 대장암 발생률이 낮았고 (HR, 0.809; P=0.0081 및 HR, 0.757; P=0.0457), 이는 호르몬 용량이 증가할수록 뚜렷하였다 (P for trend, 0.0002 및 0.0069). 위암 발생률은 호르몬 복용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HR, 0.787; P=0.0733), 간담도암과 췌장암의 경우 연관성이 없었다. 또한 호르몬 복용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소화기암 사망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HR, 0.737; P=0.0445). 결론: 한국에서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대체요법은 소화기암 발생률 감소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특히 대장암에 뚜렷하였다. 또한 이 연관성에 대해 용량-반응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Exogenous female hormones play a protective role against intestinal carcinogenesis. However, clinical studies to support the mechanisms show conflicting results, and mos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We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and gastrointestinal (GI) cancer in South Korea, and assesses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Methods: A prescription-based matched cohort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ample Cohort (2002-2013) of South Korea. We used 1:5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133,690 women (22,577 HRT users and 111,113 non-users) were selected. The main comparison was the rate of GI cancer incidence between HRT users and non-users. Kaplan-Meier survival curves with log-rank tests were use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stimate hazard ratios (HR)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The final model included age, region, income, Charlson comorbidity index, and the year of study entry. Subgroup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HRT regimens and doses. Landmark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dose-response relationship.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79.6 of months. Kaplan-Meier survival curve showed less frequent GI cancer diagnoses in HRT users compared to non-users (0.13 vs. 0.16 per 100,000 person-years, log-rank p=0.0089).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HR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creased incidence of GI cancer (HR, 0.809; p=0.0081) and colorectal cancer (HR, 0.757; p=0.0457). The association of HRT with gastric cancer incidence was marginally significant (HR, 0.787; p=0.0733). The mortality from GI cancer was also lower in HRT users than in non-users (HR, 0.737; p=0.0445). The relationship between HRT and GI cancer was more clear in higher HRT dose in terms of both incidence (p for trend=0.0002) and mortality (p for trend=0.0064). Conclusions: Postmenopausal HRT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risk of GI cancer. This negative association showed dose-response relationship.
Files in This Item:
TA0229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82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