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2 475

Cited 0 times in

Comparison of dentopalatal change after maxillary expansion among three different appliances

Other Titles
 세 가지 다른 장치를 이용한 상악 확장 시 치아 및 구개의 변화 비교 
Authors
 장우원 
College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epartment
 Dept. of Orthodontics (교정과학교실) 
Degree
박사
Issue Date
2019
Abstract
Maxillary expansion is a procedure using transverse dental and maxillary expansion to resolve problems such as dental crowding and posterior crossbite. Methods of maxillary expansion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rate of expansion and the anchors used for expansion.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reporting the changes in dentition caused by maxillary expansion, but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crown movement,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atterns of palatal soft tissue expansion or comparing the effects of multiple appliances. In this study,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expansion appliance (bonded RME (rapid maxillary expander), 20 persons; M-S (plate with median screw), 25 persons; RPE (rapid palatal expander), 20 persons), we compared dental and palatal soft tissue changes in an experimental group of 65 patients who underwent maxillary arch expansion and a control group of 46 persons who exhibited growth without any orthodontic treatment. To this end, we scanned dental plaster models from before and after expansion using 3D model scanning, which has excellent precision and reproducibility, superimposed the pre- and post-expansion models based on the medial parts of the anterior 3rd rugae and the median raphe, which are stable structures, and compared expansion patterns of dental and palatal soft tissue expansion. We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1.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s, the three expansion groups all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transverse expansion and angular expansion of the teeth and palatal soft tissue. However, none of the three appliances induced significant changes in palatal height. 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bending height ratio, which is an indicator of the location of palatal soft tissue expan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nterior and posterior regions when using the bonded RME, and in the posterior region when using the M-S or RPE. 3. When using the bonded RME, the anterior teet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expansion ratio, at 74–76% of appliance expansion, than the other two appliances (P<0.05); the posterior teeth showed an expansion ratio of 72–73%, and the posterior palatal soft tissue showed an expansion ratio of 45%. 4. When using the M-S, the anterior teeth showed an expansion ratio of 53–64% of appliance expansion, the posterior teeth showed an expansion ratio of 73–85%, and the posterior palatal soft tissue showed an expansion ratio of 43%. 5. When using the RPE, the anterior teeth showed an expansion ratio of 55–61% of appliance expansion; the posterior teeth showed an expansion ratio of 110–117%, which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other two devices (P<0.01), and the posterior palatal soft tissue showed an expansion ratio of 42%.

상악 확장은 상악골 및 치열의 횡적 확장을 통해 치아 배열을 위한 공간 부족, 구치부 반대교합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교정 술식이다. 상악을 확장하는 방법은 확장의 속도와 확장 시 이용하는 고정원 등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치열의 변화는 여러 문헌들을 통해 보고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치관의 이동을 중심으로 한 치열의 변화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며, 구개 연조직의 확장 양상이나 다수의 확장 장치의 효과에 대한 비교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다른 종류의 확장 장치(bonded RME, 20명; M-S, 25명; RPE, 20명) 로 상악궁을 확장한 실험군 65명과, 교정 치료를 받지 않고 성장을 관찰한 대조군 46명을 대상으로 치아 및 구개 연조직의 변화 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 확장 전후의 치아 석고 모형을 스캔한 후 안정적인 구조물인 anterior 3rd rugae의 medial part와 median raphe를 기준으로 중첩하였다. 세 가지 장치에 의한 전방 치아, 후방 치아 및 후방 구개 연조직의 확장 양상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세 확장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전후방 치아 및 후방 구개 연조직의 횡적 확장량과 각도 확장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세 장치 모두 구개 높이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다. 2. Bending height ratio는 구개 연조직의 확장이 일어나는 위치에 대한 지표로서 bonded RME 사용시 구개 연조직 전후방에서, M-S 및 RPE 사용시 구개 연조직 후방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Bonded RME 사용 시 전방 치아는 장치 확장량의 74-76%의 비율로 다른 두 장치에 비해 유의하게 많이 확장되었고 (P<0.05), 후방 치아는 장치 확장량의 72-73%, 후방 구개 연조직은 45%의 비율로 확장되었다. 4. M-S 사용 시 전방 치아는 장치 확장량의 53-64%, 후방 치아는 73-85%, 후방 구개 연조직은 43%의 비율로 확장되었다. 5. RPE 사용 시에는 전방 치아는 장치 확장량의 55-61%, 후방 치아는 110-117%의 비율로 다른 두 장치에 비해 유의하게 많이 확장되었고 (P<0.01), 후방 구개 연조직은 42%의 비율로 확장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A0232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Orthodontics (교정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Jang, Woowon(장우원)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814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