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288

Cited 0 times in

경계영역성 간세포결절(이형성 결절) - 용어의 선택과 간세포암종의 전암성 병변으로서의 의의 -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년-
dc.date.accessioned2020-07-02T17:13:23Z-
dc.date.available2020-07-02T17:13:23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issn0285-471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76677-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의 조기 및 전암 병변을 진단하고자 하는 노력 및 영상 진단학의 발달로 만성 간질환에서 특히 간경변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큰 크기의 결절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결절이 발견되어 병리조직학적으로 살펴보면, 소간세포암종 (small HCC)인 경우도 있으나 그 밖에 결절내부에 비교적 정상 크기의 문맥역(postal tract)들이 존재하며 결절을 구성하는 간세포들에서 세포학적 및 구조적 비정형성이 관찰되지 않거나 비정형성이 관찰되나 HCC의 진단에는 부족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병변들은 장경 0.8㎝ 또는 1㎝이상의 결절들을 대상으로 할 때 간경변증 환자의 14-25%에서 발생되며, 이러한 결절성 병변들이 간세포암종의 전암병변임을 입증하는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그 동안 이러한 병변들이 다양한 이름으로 보고되어서 다소 혼동을 유발한 점이 없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계 영역성 간세포결절에 대한 용어의 선택과 간세포암종의 전암성 병변으로서의 의의에 대하여 정리해보고자 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languageJapanese, English-
dc.publisherJapan Medical Abstracts Society-
dc.relation.isPartOfMedical Postgraduates-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경계영역성 간세포결절(이형성 결절) - 용어의 선택과 간세포암종의 전암성 병변으로서의 의의 --
dc.title.alternativeBorderline Lesion of Hepatocellular Nodule (Dysplastic Nodule) - Terminology and Significance as Precancerous Lesion --
dc.typeArticle-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Pathology (병리학교실)-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영년-
dc.contributor.localIdA01563-
dc.relation.journalcodeJ02207-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Young Nyu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영년-
dc.citation.volume26-
dc.citation.number6-
dc.citation.startPage358-
dc.citation.endPage36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Medical Postgraduates, Vol.26(6) : 358-364, 1998-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athology (병리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