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7 802

Cited 0 times in

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른 경추골과 수완부골 성숙도의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예슬-
dc.date.accessioned2019-01-02T16:46:37Z-
dc.date.available2019-01-02T16:46:37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6483-
dc.description치의학과-
dc.description.abstract성장기 교정 환자에서 성장 발육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적절한 교정치료 시기를 선택하고 치료 방법을 계획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수완부골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라 골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고, 경추골과 수완부골 간 골성숙도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골격적 I급 관계를 보이는 7-9세의 여아 59명을 두개저에 대한 하악평면각을 기준으로 하여 low angle group(33.0°미만), normal angle group(33.0°이상 41.0°미만), high angle group(41.0°이상)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에 따른 골성숙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수완부골방사선사진에서 SMI(skeletal maturity indicators)와 TW(Tanner-Whitehouse)3법으로 골성숙도를 측정하였고,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CVMI(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icators)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완부골 성숙도 평가 시 SMI와 TW3 bone age 모두 high angle group에서 low angle group보다 큰 값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2. Low, normal, high angle group 간 경추골 성숙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3. 하악평면각과 골성숙도(SMI, TW3, CVMI)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0.391, 0.333, 0.259). 수직적 안모 형태와 골성숙도 간에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완부골 성숙도 평가시 high angle group에서 low angle group보다 골성숙도가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 그러나 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른 경추골 성숙도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아동의 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른 성장 발육의 평가 시 수완부골 방사선사진을 추가적으로 촬영하여 경추골과 비교하여 골성숙도를 면밀히 평가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른 경추골과 수완부골 성숙도의 평가-
dc.title.alternativeEvaluation of skeletal maturity of the cervical vertebrae and the hand-wrist depending on vertical facial type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Ye-Seul-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