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9 1002

Cited 0 times in

노인의 가구형태 변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다인가구에서 1인가구로의 변화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Impact of a change in the household type of the elderly on depression : focused on the change from a multi-person household to a single-person household 
Authors
 정현미 
Degree
석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보건대학원
Abstract
이 연구는 노인의 가구형태 변화가 노인의 정신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우울 수준을 살펴보고, 다인가구에서 1인가구로 가구형태 변화와 우울 수준의 관련성을 비교 분석하고 가구형태 변화가 노인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idy of Aging : KLoSA) 제 3차(2010년), 제4차(2012년), 제5차(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10년을 기준으로 2010년 65세 이상 노인 3,907명의 가구형태를 다인가구와 1인가구 두 가지로 구분한 뒤 4년 동안 이들의 가구형태 변화여부에 따라 1인가구-1인가구, 다인가구-1인가구, 1인가구-다인가구, 다인가구-다인가구 4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65세이상 노인을 남성과 여성으로 범주화 하고 데이터 값은 Lag Function우로 연도별 변화를 추적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CES-D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ANOVA를 실시하였다. 가구형태 변화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화추정방정식 모형(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을 사용하고 β값으로 각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을 추정하였으며, 하위집단별 가구형태 변화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GEE분석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2010년부터 2014년 사이 다인가구에 1인가구로 가구형태가 변한 남성은 63명, 여성은 211명이였으며 이들의 평균 CES-D 점수는 남성 5.508점, 여성 5.531점으로 남성 평균점수 3.721점과 여성 평균점수 4.425점 보다 높았다. 가구형태 변화가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계속해서 다인가구를 유지하는 대비 다인가구에서 1인가구로 가구형태로 변할 때 남녀 모두 우울점수가 높았으며 그 결과는 유의했다(남: β=1.249, 여: β=0.748, ref=다인가구-다인가구).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친한사람과 만나는 빈도가 낮을수록 우울수준은 증가하였다. 결혼상태를 기준으로 혼인상태를 유지하며 다인가구에서 1인가구로 가구형태가 변화할 때 남녀 모두 우울점수가 높았으며(남: β=1.346, 여: β=1.668). 주택을 소유하지 않고 다인가구에서 1인가구로 가구형태가 변할때 남성은 β=2.396 여성은 β=1.318로 우울 점수가 높았다. 또한 친한사람을 자주 만나고, 종교모임에 참여하는 모임에 참여하는 사람의 우울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통해 동거가구에서 1인가구로의 가구형태 변화와 노인의 우울과의 인과성을 확인하였다. 가구형태는 누구와 함께 사는지에 대한 것으로 노인은 같이 살고있는 배우자나 가족, 동거인과의 사회적 관계에 의한 지지와 정서적 교류를 통해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노인 1인가구로의 변화는 이러한 긍정적 영향이 줄어들게 되어 우울감이 심화될 수 있다. 우리사회는 고령사회로 노인 1인가구는 더욱 증가할 것이며 노인의 우울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심각한 사회문제로 발전 될 수 있기에 사회는 노인 1인가구를 보호할 사회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 1인가구로의 가구형태 변화가 노인의 우울을 심화시킨다는 이 연구의 결과가 향후 가구형태 변화를 겪게 되는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마련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01482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635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