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9 607

Cited 0 times in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서 CT로 측정한 요추 근육 밀도 하운스필드 유닛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abdominal skeletal muscle attenuation determined by computed tomography in Korean elderly 
Authors
 김종은 
Degree
석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보건대학원
Abstract
ABSTRACT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abdominal skeletal muscle attenuation determined by computed tomography in Korean elderly. Jong Eun Kim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eejin Kimm, M.D., Ph.D.) Objectives: Metabolic syndrome has been known as a major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ging progresses can cause increase of body fat, decline of muscle mass, and many older diseases including diabetes.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measuring the relative muscle mass using the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s the muscle mass measurement method yet the study on the muscle density hounsfield unit, which is the indicator of the 'Muscle quality' is not widely conducted while its importance is growing. The pathological changes of the hounsfield unit reflect excessive fat deposition of muscle tissue, and are observed in people with obesity, type 2 diabetes, myositis, osteoarthritis, spinal stenosis and cancer. When the muscle mass of patients under these conditions is reduced, the prognosis is poor and the morbidity rate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etabolic syndrome and abdominal skeletal muscle attenuation determined by computed tomography in men and women aged 65 and over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This study is a cross sectional study using prospective follow up study data for preventive management of high risk group of cardiovascular disease from July 1, 2016 to November 10, 2017. A total of 1,136 subjects are included in the study excluding the 122 men and women aged 65 and over that did questionnaire survey and 215 subjects have medical history of cancer, eGFR <15, albumin <3.5 (g/dl), Platelet <100,000 (10^3/μL), Computerized Tomography, Blood test, missing value of Hand Grip Strength, outlier test.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study participants and L3 MA(0-29 HU)/L3 MA(30-100 HU), L3 MA(0-29 HU), L3 MA(30-100 HU), L3 VSR and the metabolic syndrom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stratified analysis was performed for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analysis. Insulin resistance was used for analysis by log transformat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355 men and 781 women out of a total of 1,136 aged 65 and over, the mean of L3 MA(0-29 HU)/L3 MA (30-100 HU) is 0.48±0.21 in men and 0.75±0.30 in women, and that of L3 MA(0-29 HU) is 32.10±8.24 in men and 28.99±6.11, and that of L3 MA(30-100 HU) is 73.61±19.35 in men and 42.63±12.46 in women, and that of L3 VSR is 2.03±0.92 in men and 1.02±0.38 in women, and the average age is 75.74±4.20 in men, and 74.59±4.32 in women. The odds ratio of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for L3 MA(0-29 HU)/L3 MA(30-100 HU) is significantly high in men by 4.17(95% CI; 1.23-14.13) while the ratio for women, 1.25(95% CI; 0.74 – 2.09), is not significant.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shows significantly higher association in normal nutritional status group than in women who were malnourished & At risk of malnourished, and the higher the L3 VSR is, the higher association of the odds ratio of the metabolic syndrome shows in both men and women. The odds ratio of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L3 MA(0-29 HU) is 1.06(95% CI; 1.03-1.10) in men and 1.04(95% CI; 1.02-1.07) in women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 Also only in women, the odds ratio of the metabolic syndrome shows higher association in normal nutritional status women group compared to malnourished & At risk of malnourished group, and the ratio gets higher as the L3 VSR gets higher. Finally, analysis on the best markers of metabolic syndrome with ROC Curve among CT variables shows the best markers are L3 MA(0-29 HU) for men and L3 VSR for women. Conclusions: From the study on men and women aged 65 and over living in the community, The metabolic syndrome shows significantly high association only in menas the L3 MA(0-29 HU)/L3 MA(30-100 HU) increases and metabolic syndrome shows high association in both men and women when analyzing with L3 MA(0-29 HU). As the incidence of geriatric diseases and metabolic syndrome is increasing,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etabolic syndrome and functional ability of elderl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cle density, Hounsfield unit and the metabolic syndrome. Key words: Metabolic syndrome, Hounsfield unit(HU), elderly, CT, muscle density.

국 문 요 약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서 CT로 측정한 요추 근육 밀도 하운스필드 유닛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배경 및 목적 대사증후군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알려져 왔다. 노화가 진행되면 체지방이 증가하고 근육량은 감소하며, 당뇨병과 같은 수많은 노년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지금까지 근육량 측정 방법으로는 이중 에너지 방사선 X-선 흡수 계측법을 이용한‘상대적 근육량’을 측정한 연구가 많았으나‘근육의 질’(Muscle quality)을 보는 지표인 근육 밀도 하운스필드 유닛에 따른 연구는 넓게 활용되고 있지 않아 이에 따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근육 밀도 하운스필드 유닛의 병리학적 변화는 근육 조직의 과도한 지방 침착을 반영하며 비만, 제 2형 당뇨병, 근염, 골관절염, 척추 협착 및 암이 있는 사람에게서도 관찰되고 이러한 조건을 가진 환자의 근육량이 감소하면 예후가 좋지 않고 이환율도 증가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남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요추 근육 밀도 하운스필드 유닛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사업으로 2016년 7월 1일에서 2017년 11월 10일까지 심혈관 질환 고위험군 예방관리를 위한 전향적 추적 관찰 연구 자료를 이용한 단면연구이다. 만 65세 이상 남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방문 설문 조사 시행 122명, 암의 의사 진단 병력이 있는 경우, 신기능 이상 표지자인 eGFR<15, 간 기능 이상 표지자인 Albumin<3.5(g/dl), Plat elet<10만(개/μL), 컴퓨터 단층 촬영 검사, 혈액검사, 악력검사의 결측치, 검사 이상치가 있는 경우인 215명을 제외한 1,136명이 연구 대상자로 포함 되었으며, L3 MA(0-29 HU)/L3 MA(30-100 HU), L3 MA(0-29 HU), L3 MA(30-100 HU), L3 VSR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에 대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흡연, 음주, 신체활동, 영양은 층화하여 분석 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로그 변환을 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만 65세 이상 남녀 지역사회 거주 노인 총 1,136명 중 남자 355명, 여자 78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L3 MA(0-29 HU)/L3 MA(30-100 HU) 평균은 남자에서 0.48±0.21, 여자에서 0.75±0.30이고, L3 MA(0-29 HU)은 남자에서 32.10±8.24, 여자에서 28.99±6.11, L3 MA(30-100 HU)은 남자에서 73.61± 19.35, 여자에서 42.63±12.46, L3 VSR은 남자에서 2.03±0.92, 여자에서 1.0 2±0.38, 평균 연령은 남자는 만 75.74±4.20세이며 여자는 만 74.59±4.32세이다. L3 MA(0-29 HU)/L3 MA(30-100 HU)의 대사증후군 위험에 대한 오즈비는 남자에서는 4.17(95% C.I.; 1.23-14.13)로 유의하게 높았고, 여자에서는 1.25(95% C.I.; 0.74-2.09)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여자에서만 영양불량 위험군에 비해 정상군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이 유의하게 높은 양의 연관성을 보였고, 남녀 모두 L3 VSR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의 오즈비가 높은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L3 MA(0-29 HU)의 대사증후군 위험에 대한 오즈비는 남자에서는 1.06(95% C.I.; 1.03-1.10), 여자에서는 1.04(95% C.I.;1.02-1.07)로 유의하게 높았고, 여자에서만 영양불량 위험군에 비해 정상군에서와 L3 VSR이 높을수록 대사증후군의 오즈비가 높은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CT변수 중 ROC Curv e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의 가장 좋은 표지자를 분석한 결과, 남자에서는 L3 MA(0-29 HU)이고, 여자에서는 L3 VSR로 나타났다. 결론 만 65세 이상 남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남자에서 L3 MA(0-29 HU)/L3 MA(30-100 HU)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이 남자에서만 유의하게 높은 양의 연관성을 보였고, L3 MA(0-29 HU)으로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대사증후군이 유의하게 높은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점차 노년기 질환 및 대사증후군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와 관련된 노인의 기능수행에 대한 연관성 분석과 근육밀도 하운스필드 유닛과 대사증후군의 세부요소들과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대사증후군, Hounsfield unit (HU), 노인, CT, 근육밀도.
Files in This Item:
T01479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632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