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5 710

Cited 0 times in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에 대한 의료인의 허용 의도 영향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health care providers' intention to allow family presence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uthors
 차예린 
Degree
석사
Issue Date
2018
Description
간호학과
Abstract
PURPOSE : As the concepts of patient centered care and family engagement are emerging in nowadays, family presence during resuscitation(FPDR) has been a trend in medical development. However, FPDR is not common in Korea and the medical professionals in this region oare unfamiliar with FPD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intention and affecting factors to allow FPDR of medical professionals in Korea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ETHODS : The study design was a cross-sectional survey. A structured survey was self-administered by 213 medical professionals including 153 nurses and 57 physicians from 2 tertiary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1 secondar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do from April to May, 2018. Participants were asked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with to allow FPDR.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 One hundred and sixty seven participants have experience of CPR(78.4%); 16.9% of them replied that they were requested to allow FPDR from their families, and 19.7%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FPDR. Positive attitudes(β=0.221, t=3.231, p=.001), subjective norms(β=0.285, t=3.339, p=.001),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β=0.221, t=2.869, p=.005) were significantly affecting the intention to allow family presence during resuscitation. CONCLUSIONS : Because of the low level of intention to allow family presence during resuscitation, it needs to be developed FPDR education program for healthcare providers reflecting appropriate Korean medical environment. This may enhance the positive beliefs and confidence with performing FPDR through medical professionals. In parallel, organizational efforts should also be made to improve environmental conditions.

최근 환자 중심과 가족 중심 돌봄 개념이 확대되고, 환자 참여(patient engagement), 가족 참여(family engagement)를 통한 환자와 가족의 자율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를 통한 환자와 가족의 치료적 참여를 통해 심폐소생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가족들의 자율성을 존중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에 대한 국내 의료인의 허용 의도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가족 입회 지침 및 프로토콜의 개발과 이를 적절히 수행하도록 하는 의료인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8년 서울 소재의 상급종합병원 2개와 경기도 소재의 종합병원 1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53명, 의사 57명의 의료인 213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 도구는 2017년 Lai와 그 동료들에 의해 계획된 행위 이론 기반으로 개발된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에 대한 의료인의 허용 의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4.0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Student’s t-test, ANOVA, Multiple linear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32.63±7.39세, 임상 경력은 평균 7.89±7.05년이었고, 학력은 4년제 또는 6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대상자가 140명(65.7%)으로 가장 많았다. 간호사의 경우, 주요 임상 경력 부서가 응급실 53명(24.9%)으로 가장 많았고,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52명(97.4%)으로 가장 많았다. 의사의 경우 진료 과는 마취통증의학과가 19명(33.3%)으로 가장 많았고, 직위는 전공의가 28명(49.1%)으로 가장 많았다. 2. 심폐소생술과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면, 심폐소생술 시행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166명(78.4%),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210명(98.6%),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6명(2.8%)이었다. 심폐소생술 시행 경험이 있는 대상자(167명) 중 가족 입회를 요청 받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36명(21.6%), 실제로 가족 입회를 경험한 대상자가 42명(25.1%)으로 전체 대상자 중 각각 16.9%, 19.7%이었다. 3.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조절 능력, 행위 의도, 인식을 5점 Likert 척도(1-5)로 측정한 결과, 긍정적 태도 2.79±0.99점, 부정적 태도 4.04±0.67점, 주관적 규범은 2.23±0.66점, 지각된 행위 통제는 2.15±0.65점, 행위 의도는 3.33±0.97점으로 나타났다. 4. 긍정적 태도는 중간보다 조금 낮은 수준으로 임상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임상 경력이 1∼5년 사이인 경우 3.05±0.85점으로 그 점수가 가장 높았다. 또한 심폐소생술 경험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5. 부정적 태도는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부정적 태도의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일반적 특성은 없었으나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를 요청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점수가 소폭 낮은 경향이 있었다. 6. 주관적 규범은 중간보다 다소 낮은 수준으로 심폐소생술 경험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7. 지각된 행위 통제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임상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 또한 임상 경력이 1∼5년 사이인 경우에서 2.27±0.61점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간호사의 경우 근무 부서에 따라 그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심장 관련 검사실에서 그 수준이 가장 높고(2.42±0.58점), 응급실(1.94±0.66점)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8. 허용 의도의 수준은 중간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의 경우 근무 부서에 따라 허용 의도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또한 심장 관련 검사실에서 그 수준이 가장 높고(3.90±1.02점), 응급실(3.09±1.01점)과 중환자실(3.09±0.99점)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9.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에 대한 의료인의 허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긍정적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인력, 공간 등과 같은 자원을 확충하는 노력을 통해 환경을 개선시킴으로써 행위 의도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의 허용 의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심폐소생술 시 가족 입회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해야 하며, 실무 현장을 적절히 반영한 프로토콜과 지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477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631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