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3 1287

Cited 0 times in

한국어판 중환자 가족 요구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윤송-
dc.date.accessioned2018-06-28T07:17:34Z-
dc.date.available2018-06-28T07:17:34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0121-
dc.description간호학과-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들의 요구도를 평가하기 위해 Molter(1979)가 개발하고 Leske(1991)가 검증한 Critical Care Family Needs (CCFNI)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번안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한국어판 중환자 가족의 요구도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 도구인 CCFNI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평가와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9월26일부터 10월 26일까지 서울 소재 G병원과 S병원의 내과계, 외과계, 심장내과(혈관외과), 신경계(신경외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 중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202명의 중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sion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STATA version 14.0(STATA, College Station, Texas)을 사용하여 요인 적재량을 확인하고, 평균제곱잔차의 제곱근(Standard Root Mean square Residual, SRMR), 근사평균오차제곱근(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비교적합지수(Comparative Fit Index, CFI)와 표준적합지수(Tucker-Lewis Index, TLI)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요인적재량이 최소 권장 기준치인(Merenda, 1997) .3 이하인 문항을 삭제한 후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여 총 45문항의 최종 도구를 완성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남성 98명(48.5%) 여성 104명(51.5%)였고, 평균 연령은 44.7(±13.49)세였다. 환자와의 관계는 자녀인 경우가 110명(54.5%)으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 49명(24.3%), 부모 30명(14.9%), 형제·자매 13명(6.3%) 순이었다. 중환자실 재원기간은 72시간 이상이 93명(4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48시간 이상-72시간 미만이 20명(9.95%), 24시간 이상-48시간 미만이 23명(11.4%), 12시간 이상-24시간 미만이 40명(19.8%), 12시간 미만이 26명(12.9%)으로 분포되었다. 2. 중환자 가족의 요구도 총 평균은 4점 만점에 3.25(±.37)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확신 3.75(±.28)점, 정보 3.36(±.38)점, 근접 3.32(±.45)점, 안위 3.04(±.55)점, 지지 2.96(±.45)점 순으로 나타났다. 3.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적으로 지지 받고자 하는 요구(CCFNI-A)’,‘정보에 대한 요구(CCFNI-I)’, ‘근접에 대한 요구(CCFNI-P)’,‘ 가족의 안위에 대한 요구(CCFNI-C)’‘정서적으로 지지 받고자 하는 요구(CCFNI-S)’영역의 평균제곱잔차의 제곱근(SRMR)이 각각 .054, .059, .057, .03 .079로 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기준치 .06 이하에 부합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CFI와 TLI 그리고 RMSEA 등의 모든 모형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에 부합하였다. 4. 요인적재량을 분석한 결과 Merenda(1997)가 최소 권장값으로 제시한 요인적재량 값이 .3 이하인 문항이 4문항 나타났다. 해당의 4문항을 제외하고 전체 모형 적합도 지수를 재분석한 결과, 41문항으로 이루어진 모형의 요인적재량 지수와 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45문항으로 이루어진 모형과 비교해 보았을 때 개선된 값의 차이는 매우 미미하였다. 5. 한국어판 CCFNI의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45문항의 전체 도구의 Cronbach's alpha는 .93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하위영역별 Cronbach's alpha는 확신=.66, 정보=.73, 근접=.77, 안위=.71, 지지=.81로 나타나 원 도구의 개발 당시 신뢰도보다 상승된 결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Molter(1979)가 개발한 Critical Care Family Needs Inventory를 번역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통해 한국어판 CCFNI를 제시하였다. 향후 본 도구가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 구성원의 객관적인 요구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가족들의 요구를 규명하고, 미충족된 요구를 충족시키는 중재를 통해 중환자 가족의 만족도 상승, 재원기간 단축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되는 말 : 중환자, 중환자 가족, 중환자실, 요구도, 타당도, 신뢰도-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어판 중환자 가족 요구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dc.title.alternative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critical care family needs inventory-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Youn so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