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5 606

Cited 0 times in

Novel clinical anatomic emergences and distribution of the facial branches of the pphthalmic artery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총여요-
dc.date.accessioned2018-06-28T07:17:29Z-
dc.date.available2018-06-28T07:17:29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0113-
dc.descriptionDepartment of Dentistry-
dc.description.abstract얼굴에 분포하는 눈동맥의 주요 가지는 하나의 큰 줄기로 눈확의 앞쪽으로 빠져나와 큰 동맥 연결을 형성하여, 이마 (도르래위동맥, STA), 코 (콧등동맥, DNA), 안쪽눈구석 (눈구석동맥, AA)과 눈꺼풀 (위 및 아래안쪽눈꺼풀동맥, SMPA and IMPA) 부위에 분포한다. 임상적으로는 비침습적인 필러 시술과 재건 수술과 관련한 위눈꺼풀근육피부피판 (upper eyelid myocutaneous flap (UEMF)) 술식 등에 눈동맥의 출현점 및 가지들에 대한 임상해부학적 지식이 필수적이다. 필러 시술은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얼굴 미용 시술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시술시 눈동맥의 얼굴가지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의 부재는 동맥의 손상을 일으켜 동맥 분포부위의 피부 괴사 등, 극히 드물게는 실명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위눈꺼풀근육피부피판 (upper eyelid myocutaneous flap (UEMF))은 눈주위 조직 재건에 적용되는 눈성형술로, UEMF 시 눈동맥의 출현점 및 동맥가지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은 성공적인 피판수술을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동맥들이 일어나는 동맥의 줄기 부분을 눈동맥의 얼굴가지 (Fbrs of OA)로 명명하여 그 출현점과 분포양상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얼굴에서 눈동맥이 나타나는 동맥 출현점의 3차원적 구명, (2) 이마부위에 분포하는 도르래위동맥 (STA)과 눈확위동맥 (SOA)의 분포양상 관찰, (3)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의 국소해부학적 분석을 통해 안전한 눈주위 최소침습적 치료 및 수술적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임상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재료로는 17쪽의 시신을 3D 스캐너 (Morpheus3D®, Morpheus Company, Seongnam, Korea)를 이용하여 정면과 양쪽 45° 측면에서 얼굴을 촬영하였다. 촬영한 얼굴은 Morpheus Plastic Solution (version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면과 양쪽 측면에서 촬영해 획득한 세 개의 사진을 세 점 (가쪽눈구석, 콧방울점, 입꼬리)을 기준으로 정합하여 3차원 재구성하였다. 오른쪽 안쪽눈구석을 지나는 수직선을 따라 절개선을 긋고 피부를 벗겨 해부를 진행하였다. 눈동맥 출현점을 노출한 후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부가 된 시신의 얼굴을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해부가 되지 않은 사진과 눈동맥 출현점 해부가 된 사진을 최종적으로 정합하여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이와 함께, 30명의 임상시험 피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촬영하여 눈동맥 출현점을 관찰하였다. 더불어 20쪽의 시신을 해부하여 이마 부위의 혈관분포 양상을 관찰하였으며 31쪽의 시신을 이용하여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눈동맥의 3차원적 출현점은 안쪽눈구석에서 안쪽으로 3.8±1.0mm, 위쪽으로 14.0±2.9mm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다. 3D 스캐너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계측한 피부에서부터 눈동맥 출현점의 깊이는 각각 4.8±1.7mm, 4.5±1.1mm였다. 이마에 분포하는 도르래위동맥 깊은가지의 유무에 따라 두 개의 주요 동맥 분포양상이 관찰되었다. Type I (도르래위동맥의 깊은가지 (dSTA)가 존재하는 경우, 55%)은 두 개의 세부 형태로 나누었다. Type Ia (35%)는 이마근 얕은층의 안쪽부분은 도르래위동맥의 얕은가지 (sSTA)가 분포하고 가쪽부분은 눈확위동맥의 얕은가지 (sSOA)가 분포하는 형태였다. 또한 도르래위 및 눈확위동맥의 깊은가지가 이마근의 깊은 부분에 분포하였다. Type Ib (20%)는 이마근의 얕은층의 안쪽은 도르래위동맥의 얕은가지와 중심동맥 (central artery) 혹은 중심옆동맥 (paracentral artery)이 분포하며 가쪽은 눈확위동맥의 얕은가지가 분포하는 형태였다. 또한 이 유형에서 도르래위 및 눈확위동맥의 깊은가지가 이마근의 깊은부분에 분포하였다. Type II (도르래위동맥의 깊은가지 (dSTA가 부재한 경우, 45%)는 이마근의 얕은부분은 도르래위동맥의 얕은가지가 가쪽부분은 눈확위동맥의 얕은가지가 분포하였으며 눈확위동맥의 깊은가지가 이마근의 깊은부분에 모두 분포하는 형태로 관찰되었다.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의 분포양상은 네 가지 형태로 관찰되었다. Type I은 위 및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이 눈동맥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분지하고 눈동맥은 도르래위동맥으로 계속되며 끝나는 형태로 36.7%에서 관찰되었다. Type II는 눈동맥에서 짧은 하나의 가지가 분지되고 이 가지에서 위 및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이 나뉘고 눈동맥은 도르래위동맥으로 계속되어 끝나는 형태로 36.7%에서 관찰되었다. Type III는 위 및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이 눈동맥 한 지점에서 일어나고, 눈동맥은 도르래위동맥으로 끝나는 형태로 23.3%에서 관찰되었다. Type IV는 위 및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이 눈동맥의 끝가지에서 분지하고, 도르래위동맥은 눈구석동맥에서 오는 형태로 3.3%에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를 적용하여 다양한 필러 시술과 UEMF 수술을 진행한다면 효과적인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Novel clinical anatomic emergences and distribution of the facial branches of the pphthalmic artery-
dc.title.alternative눈동맥 출현점 및 눈동맥 얼굴가지의 국소해부학-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박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ong, Li Yao-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