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6 871

Cited 0 times in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동은-
dc.date.accessioned2018-06-28T07:17:00Z-
dc.date.available2018-06-28T07:17:00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60019-
dc.description아동간호 전공-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아동의 희귀·난치·만성질환 중 하나인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 정도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담도폐쇄증 아동 부모들의 자조모임인 담우회의 협조로 부모가 담우회에 가입하였고 자녀가 담도폐쇄증으로 치료 받고 있는 만 1~3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2017년 5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9개의 설문이 최종분석 되었다. 어머니의 가족극복력은 Sixbey(2005)가 Walsh(1998)의 가족극복력 이론에 맞게 개발한 Family Resilience Assessment Scale(FRAS)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Gross와 Rocissano(1988)가 개발한 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Toddler Care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과 변수의 특성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가족극복력은 가능점수 66 ~ 264점 중 192.44(±13.52)로 높게 나타났고, 영역별로는 최대 점수 4점 중 의사소통과정이 3.01(±0.22)로 가장 높았고 신념체계가 2.81(±0.25)로 낮게 나타났다. 2.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가능점수 37 ~185점에서 149.44(±10.94)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최대 점수 5점 중 의사소통능력이 4.24(±0.37)로 가장 높았고, 두 번째로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이 4.06(±0.39)으로 나타났다. 3.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아동의 특성 중 카사이 수술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2.167, p<0.05)가 있었다. 4.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r=.368,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극복력 하위 영역 중에서는 조직패턴(r=.391, p<0.01)과 의사소통과정(r=.353, p<0.01)이 양육효능감과 관련성이 있었고 양육효능감의 하위 영역 중 의사소통능력(r=.346, p<0.01)과 교육(r=.333, p<0.05), 발달지원(r=.302, p<0.05)이 가족극복력과 상관성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향후 이러한 관련성을 바탕으로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을 강화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학적 접근 방법과 중재 방안들의 모색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담도폐쇄증 아동 어머니의 가족극복력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dc.title.alternativeCorrelation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biliary atresia-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Dong E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