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0 911

Cited 0 times in

돌발성 난청 환자를 위한 교육 동영상 개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애-
dc.date.accessioned2018-06-28T07:16:21Z-
dc.date.available2018-06-28T07:16:2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9896-
dc.description임상간호전공-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돌발성 난청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문제와 자가 간호에 대한 교육 동영상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교육 동영상의 내용은 문헌고찰과 환자 면담을 통해 돌발성 난청 환자의 건강문제와 자가 간호에 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하여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시나리오의 구성영역과 구성 영역별 내용을 작성하여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타당도를 측정하여 시나리오를 완성하였다. 동영상 제작은 영상 촬영, 내레이션 녹음, 편집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개발된 예비 동영상으로 돌발성 난청 환자에게 교육을 시행하고 교육 자료에 대한 환자 만족도 평가를 바탕으로 최종 교육 동영상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동영상 개발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문헌고찰과 환자 면담을 통해 교육 요구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9가지 항목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시나리오 구성은 ‘돌발성 난청의 정의’ ‘돌발성 난청의 원인과 위험요인’, ‘돌발성 난청의 예후와 영향인자’, ‘돌발성 난청의 동반증상’, ‘돌발성 난청의 진단검사’, ‘돌발성 난청의 치료방법’, ‘약물치료의 종류와 특성’, ‘돌발성 난청 환자의 일상생활 관리’, ‘돌발성 난청의 청력 재활’이었다. 구성에 대한 6명의 전문가 타당도는 CVI는 0.96 이었고, 각 항목별 CVI는 0.83-1.00으로 모든 항목에서 전문가 합의를 이루었다. 2. 시나리오의 구성에 따라 각 내용을 작성하였으며, 완성된 시나리오 내용의 전문가 타당도는 CVI는 0.97 이었고, 각 항목별 CVI는 0.83-1.00으로 모든 항목에서 전문가 합의를 이루었다. 3. 예비 교육 동영상 제작은 서울 Y대학 부속병원 홍보팀의 영상미디어 파트와 함께 영상 촬영, 내레이션 녹음, 편집의 과정을 거쳤다. 4. 예비 교육 동영상에 대한 환자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10명의 돌발성 난청 환자를 대상으로 총 9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을 시행하였다. 구체적 설문 항목은 난이도, 언어의 적절성, 흥미, 동기유발, 효과성, 시간의 적절성, 화면구성의 적절성, 음향의 질, 화면의 질 이었으며,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는 1점, ‘매우 동의한다’는 5점의 Likert식 5점 척도를 이용하여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각 항목별 점수는 4.3-4.8점 이었으며, 총 평균은 4.64점이었다. 설문 후 수정 보완하여 최종 교육 동영상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동영상은 돌발성 난청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나 환자 교육을 시행한 선행연구가 없는 현실에서 돌발성 난청 환자의 교육을 위해 시도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임상에서 간호사가 표준화되고 체계화된 교육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추후 동영상 교육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성과 연구와 나아가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돌발성 난청 환자를 위한 교육 동영상 개발-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video for sudden hearing loss patients-
dc.typeThesis-
dc.description.degree석사-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i A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