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 596

Cited 0 times in

군 장병의 우울증상이 비의도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현인선-
dc.date.accessioned2017-11-28T16:30:46Z-
dc.date.available2017-11-28T16:30:46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966-
dc.description보건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연구 목적: 이 연구는 군 장병의 우울증상이 비의도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군 병력 손실을 야기하는 비의도적 손상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군 보건정책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군인건강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간부와 병사로 구분하고 우울변수가 측정된 자료의 응답자 중 분석변수의 결측치 및 의도적 손상 경험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간부 3,732명, 병사 1,960명을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종속변수는 최근 1년 동안의 비의도적 손상 경험 유무로 정의하였고, 흥미변수는 우울증상 수준을 정상, 우울증상 있음, 중한 우울증상으로 구분하였다. 혼란변수는 인구학적, 신체건강 요인, 정신건강 요인, 군 관련 특성에 해당하는 변수를 포함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카이스퀘어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위집단 분석이 있고, 추가적으로 분산팽창요인 분석 및 모델 적합도 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간부 총 3,732명 중 비의도적 손상 경험자는 245명으로 전체 6.6%에 해당하고, 병사는 총 1,960명 중 13.4%에 해당하는 262명이 경험하였다. 비의도적 손상 경험 비율은 간부에서 우울증상이 있을 경우 11.6%, 중한 우울증상이 있을 경우 11.8%였고, 병사에서 우울증상이 있을 경우 19.4%, 중한 우울증상이 있을 경우 30.3%였다. 군인 천 명당 비의도적 손상 발생시기별 발생률은 간부에서 체력단련 중이 20.1명으로 가장 높고, 병사에서 근무·훈련 중이 48.0명으로 가장 높았다. 손상 유형별 발생률에서는 간부와 병사 모두 부딪힘에서 각각 16.1명 36.7명으로 가장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간부와 병사 모두에서 우울증상이 비의도적 손상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부에서는 보정 전 교차비가 정상군에 비해 우울증상에서 1.988(95% CI= 1.271-3.110), 중한 우울증상에서 2.021(95% CI= 0.853-4.790)였으나, 모든 혼란 변수를 보정하고 난 후 교차비는 각각 1.667(95% CI= 1.002-2.775), 1.515(95% CI= 0.559-4.107)로 높아지는 양상이 변화하였다. 병사에서는 보정 전 교차비가 정상군에 비해 우울증상에서 1.725(95% CI= 1.196-2.489), 중한 우울증상에서 3.108(95% CI= 1.459-6.621)로 우울증상이 심할수록 높아졌고, 이러한 양상은 보정 후에도 비슷하였다. 군 관련 변수의 하위집단을 세부분석한 결과, 간부는 남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우울증상의 교차비가 1.795(95% CI= 1.044-3.087), 위관장교에서 우울증상의 교차비가 3.388(95% CI= 1.243-9.234)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병사는 육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우울증상의 교차비가 2.250(95% CI= 1.190-4.254), 상병에서 우울증상의 교차비가 2.335(95% CI= 1.073-5.081), 기술병과에서 우울증상의 교차비가 2.504(95% CI= 1.090-5.75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 결론: 군 장병의 우울증상은 비의도적 손상 발생 위험을 증가시켰다. 이에 따라, 우리 군에서는 예방 가능한 병력 손실을 막고, 군 사기 진작을 위해 군 장병의 우울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치료 및 관리가 가능한 실질적 보건의료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각 군의 특성 및 임무와 신분 별 특색을 반영한 맞춤형 관리방안 마련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Military deaths due to unintentional injuries correspond to an average of 33% per year over the past 10 years. The lethal accident of the army brings down the morale of the army and the loss of the military force which is the backbone of the fighting power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defense power. In addition, depression is the most crucial factor which threatens the mental health of military personne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military personnel's depressive symptoms affect unintentional injuries in order to prevent death or injury due to unintended injuries of military personne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014, 2015 Military Health Survey (MHS), conducted by the ROK School of Military Medicine and designed to obtain military health determinants.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5,692 subjects who had unintentional injuries experience (military executives: 3,732; enlisted soldiers: 1,960). The dependent variable was unintentional injuries in the last year. Depressive symptoms was measured using the scale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 11) and in 2015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 II (BDI - Ⅱ). And Chi-square tests and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3,732 military executives, 245 (6.6%) of them suffered unintentional injuries. And of the 1,960 enlisted soldiers, 262 (13.4%) enlisted soldiers had experienced unintentional injuries. We found that the depressive symptom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OR) of risk of unintentional injuries (OR=1.66, 95% confidence interval [CI]=1.00-2.77) compared to normal group among military executives. In enlisted soldiers, compared to normal group, depressive symptoms and high depressive symptoms had significantly higher ORs of unintentional injuries (depressive: OR=1.69, 95% CI=1.09-2.63; high depressive: OR=3.10, 95% CI=1.20-8.00). And odds ratio of before and after covariates had adjusted were slightly attenuated in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but remained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nagement of depression of Korean military personnel is one way which could prevent unintentional injuries. However, the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군 장병의 우울증상이 비의도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yun, In Se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