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4 1532

Cited 0 times in

외래 간호사가 인지하는 업무활동 수행도와 중요도, 직무만족과의 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영인-
dc.date.accessioned2017-11-28T16:30:41Z-
dc.date.available2017-11-28T16:30:4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933-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외래 간호사가 인지하는 업무활동 수행도와 중요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과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전문직 간호사로서 외래간호사의 업무활동을 정착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 상급종합병원 외래에서 환자와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는 면허가 있는 간호사 중 현 근무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총 135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외래간호사가 인지하는 업무활동 수행도와 중요도 정도는 성영희와 박정숙(2003)의 도구를 황혜영 등(2007)이 수정․보완한 도구, 직무만족도는 전경자와 최은숙(2013)이 한국어로 번역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COPSOQ-K를 박인숙(2016)이 병원 환경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평균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자 135명의 평균연령은 39.6세였고, 성별은 135명(100%) 모두 여성이었다. 결혼상태는 95명(70.4%)이 기혼자였고, 최종학력은 92명(68.1%)이 학사로 가장 많았다. 고용형태는 121명(86.3%)이 정규직이었고, 대상자의 총간호사 평균경력은 16년이었다. 총외래근무 평균경력은 6년이었고, 현근무지 평균경력은 5년이었다. 현직위는 105명(77.8%)이 일반간호사였고, 30명 (22.2%)은 책임간호사였다. 소속부서는 69명(51.2%)이 외래간호팀이었고, 38명(28.1%)은 암간호과, 28명(20.7%)은 소아간호과였다. 부서에서의 역할은 89명(65.9%)이 외래간호사였고, 이직 또는 부서이동 희망여부는 117명(86.7%)이 ‘아니오’로 응답하였다. 2. 외래간호사가 인지하는 수행도와 중요도의 전체평균은 4점 만점에 수행도는 2.07±.38, 중요도는 3.04±.50이었다. 수행도는 2.0 이상, 중요도는 3.0점 이상인 하위영역 중 의사소통영역이 가장 높았다. 반면 수행도의 치료적 간호영역(1.42±0.45)과 중요도의 인력관리 영역(2.88±0.78)은 낮은 점수를 보였다. 3. 수행도와 중요도의 업무활동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수행도는 3.0점 이상으로 ‘자주 수행’ 또는 ‘전적수행’이라고 응답한 간호사의 하위 영역별 업무활동으로서 외래통상업무 영역은 안내(3.11±0.69), 환자교육/상담 영역은 검사관련 설명(3.01±0.75), 의사소통 영역은 환자문제해결(3.04±0.76)이었다. 중요도는 3.0이상으로 ‘중요함’ 또는 ‘매우 중요함’이라고 응답한 간호사의 하위영역별 업무활동으로서 외래통상업무 영역은 예약(3.32±0.71), 안내(3.30±0.66), 치료적 간호영역은 심폐소생술(3.43±0.94), 환자사정(3.34±0.85), 환자교육/상담 영역은 검사관련 설명(3.41±0.56), 질환관련 설명(3.36±0.60), 복약상담(3.33±0.63), 환자옹호 영역은 심리적/정서적지지(3.36±0.55), 의사소통 영역은 환자문제해결(3.45±0.53), 정보관리 영역은 환자통계(3.11±0.74) 등을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4. 외래간호사의 연령(F=4.852, p=0.009), 총간호사경력(F=5.910, p=0.000), 총 외래경력(F=3.406, p=0.011), 현직위(t=-5.063, p=0.000), 소속부서(F=5.608, p=0.005), 부서에서의 역할(F=4.338, p=0.006)에 따라 수행도가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외래간호사의 연령(F=5.333, p=0.006), 결혼(t=-2.040, p=0.043), 총간호사경력(F=3.429, p=0.011)에 따라 중요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 정도의 전체 평균은 3.23±0.33이었고, 하위 영역의 동료 및 상관과의 관계 평균은 3.58±0.38로 가장 높았다. 업무환경의 평균은 3.32±0.44, 직무만족의 평균은 2.76±0.42, 양적업무량의 평균은 3.12±0.74, 감정적부담의 평균은 2.71±0.65, 업무속도의 평균은 2.13±0.76 순이었다. 고용형태(t=2.253, p=.026), 현직위(t=-2.379, p=.019), 이직 또는 부서이동 희망여부(t=-2.839, p=.005)에 따라 직무만족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수행도와 중요도의 차이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환자교육/상담 영역에서 감정적 부담(r=.185, p=.032)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사소통과 동료 및 상관과의 관계(r=-.155, p=.074), 의사소통과 양적 업무량(r=-.148, p=.087), 정보관리와 양적 업무량(r=-.153, p=.076)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외래간호사가 인지하는 업무활동 수행도와 중요도, 직무만족과의 관계는 환자교육/상담과 감정적 부담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의사소통과 동료 및 상관과의 관계, 의사소통과 양적 업무량, 정보관리와 양적 업무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환자교육/상담, 의사소통, 정보관리영역이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 정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환자교육/상담, 의사소통, 정보관리를 위한 교육 및 감성교육,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 등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환자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기록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identify the job performance and job importance recognized by outpatient nurses and to figure out the impact of job performance and job importance on job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for the outpatient clinic in a tertiary hospital more than 6 month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Oct 17th to 19th. 2016. 135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participants was 39.6 years old, and sex was all female. The married was 70.4%, 68.1% of participants had bachelor's degree as the highest degree of education. Full time employees were 86.3%. The average nursing career was 16 years, the average career length at the outpatient clinic was 6 years, and the average career length at the current outpatient clinic was 5 years. The proportion of staff nurses is 77.8% and the proportion of charge nurses is 22.2%. The proportion of general outpatient nurses was ranked high (51.2&). Most participants(65.9%) play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외래 간호사가 인지하는 업무활동 수행도와 중요도, 직무만족과의 관계-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g Youngi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