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6 509

Cited 0 times in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이용이 5등급 인정자의 등급상향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전상민 
Issue Date
2017
Description
보건정책학과 보건정책관리전공/석사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이 노인장기요양보험 5등급 인정자의 등급상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노인장기요양보험 5등급 인정자의 등급판정 관련 인정조사 및 의사소견서 자료, 이용한 서비스 종류 및 일수 등의 자료를 발췌하여 개인별로 구축하여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4.7~2015.12동안 1회차 5등급 인정자가 동일기간 동안에 2회차 등급의 변화를 기준으로 등급상향 (1~4등급)과 등급유지(5등급 및 등급외)가 되는 6,4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5등급 인정자의 등급상향과 등급유지이며, 독립변수는 서비스 이용 특성, 인구사회적 특성, 건강 및 기능 특성으로 하였다. 서비스 이용 특성은 1회차 5등급 유지 동안 이용한 서비스 종류별 이용일수를 미이용과 4분위수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인구사회적 특성과 건강 및 기능 특성은 1회차 5등급 판정에서 활용한 인정조사 및 의사소견서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5등급 인정자 중 2회차 등급상향과 등급유지의 일반적인 특성의 비교는 카이제곱검정으로 하였다. 5등급 인정자의 등급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을 기준으로 인구 사회적 특성, 건강 및 기능 특성을 단계적으로 추가한 3개의 모형을 이용하여 다변수 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중 5등급 이후 등급상향은 37.2%, 등급유지는 62.2%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등급상향과 등급유지의 차이는 요양시설 이용일수에서는 등급상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방문요양․주야간보호 이용일수에서 등급유지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 연령, 거주지, 동거인의 경우 모두 등급상향이 낮게 나타났다. 일상생활영역, 수단적 일상생활영역, 인지기능영역, 행동변화영역, MMSE점수구간에서 등급상향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을 기준으로 5등급 인정자의 등급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요양시설 이용일수, 방문요양 이용일수, 주야간보호 이용일수, 성별, 지역구분, 동거인, 중풍여부, 일상생활영역, 수단적 일상생활영역, 인지기능영역, 행동변화영역, MMSE-K 점수구간, 평균입원일수로 확인되었다. 등급상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서비스 이용 특성에서 요양시설 이용일수에서 미이용에 비해 Q1(1~176일)인 경우 교차비가 4.10(95% CI=2.82-5.97)로 5등급 인정자의 등급상향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방문요양 이용일수가 미이용에 비해 Q4(219일 이상)인 경우 교차비가 0.54(95% CI=0.41-0.70)로 5등급 인정자의 등급상향에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 요양시설 이용은 5등급 인정자의 등급상향에 영향을, 방문요양과 주야간보호는 등급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인지재활훈련이 포함된 방문요양 및 주야간보호 서비스를 증가시켜 이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치매 대상자에 대한 정확한 조기 판단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5등급으로 판정을 유도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대상자의 상태 관련 인지재활․영양․운동 서비스뿐만 아니라, 동거인 등의 가족에 대한 지원, 주위 환경까지 고려된 복합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influence factors of using long-term care benefits on raising grade in the grade 5 recipients of the long-term care benefits. For research materials, this study collected data for each individual by extracting accreditation investigation and doctor’s opinion related to grading the grade 5 recipients of long-term care benefits, and types and the number of days of used services. For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6,420 people, who become raising grade (1~4 grades) and become maintaining grade (5 grade or non-eligible grade), based on the same period when a grade 5 recipient in the first round took grade changes in the second grade from July in 2014 to December in 2015.
This study set dependent variables as raising grade and maintaining grade of the grade 5 recipients and independent variables as servic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and function characteristics. In the servic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this study classified the number of days of each type of used services during maintaining grade 5 in the first round based on unused and quartile states. In the socio-demographic, health, and function characteristics, this study utilized data such as accreditation investigation and doctor’s opinion utilized in assessment of grade 5 in the first round.
In compar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raising grade and maintaining grade in the second round among grade 5 recipients of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utilized chi square test. In influence factors to affect raising grade of grade 5 recipients, based on a long-term care benefit usage, this study conducted multivariable analysis by using three models add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and function characteristics in phase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research subjects, raising grade was 37.2% and maintaining grade was 62.2% after grade 5.
Second, in the difference between raising grade and maintaining grade of research subjects, the raising grade appeared highly in the number of days of using nursing facilities, and the maintaining grade appeared highly in the number of days of using home help service and day care service. All of gender, age, residence, and cohabitant showed low raising grade.
In a daily ...
Files in This Item:
T01438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92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