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7 725

Cited 0 times in

제2형 신장계 당뇨병 합병증 환자의 진료 지속성 수준이 만성 신부전 발생에 미치는 영향 :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자료를 이용하여

Authors
 장윤정 
Issue Date
2017
Description
보건정책관리 전공/석사
Abstract
적극적인 혈당 조절은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고, 합병증의 진행속도를 늦추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당뇨 유병 인구와 적절히 조절되고 치료되지 않은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은 사회경제학적인 비용의 과도한 부담을 발생시켜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지역사회 보건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제2형 신장계 당뇨병 합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외래진료 지속성이 만성 신부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추적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표본코호트 100만명 DB를 사용하여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만성 신부전 발생이 없는, 2005년부터 2012년 사이 새롭게 만성 신부전이 발병한 제2형 신장계 당뇨병 합병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주상병이 당뇨병(E11.2)으로 외래를 이용한 환자 3,565명이었다. 종속변수는 만성 신부전 발생이며, 만성 신부전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투석(수가 5단코드 ‘O7020’, ‘O9991’), 복막투석(수가 5단코드 ‘O7062’)과 신장이식(수가 5단코드 ‘R3280’)의 행위가 청구된 환자로 정의하였다. 독립변수는 진료의 지속성 수준이었으며 COC (Continuity of Care) 지표로 측정하였고, 연구대상자의 만성 신부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나는지를 T-test와 ANOVA를 통해, Kaplan-Meier Curve와 Cox hazard model을 통해 지속성 수준을 포함하여 만성 신부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제2형 신장계 당뇨병 합병증 환자에서 외래진료 지속성 수준이 만성 신부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 나이, 가입자구분, 인슐린 치료제 사용 유무, 질병의 중증도, 의료기관 종별, 병상수 및 의사수, 의료기관의 소재지를 보정하고 지속성 수준에 따른 만성 신부전 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거주지역 중 대도시가 2.105(95% CI: 1.040-5.299), 중소도시 1.700(95% CI: 0.621-4.653), 농어촌 지역 1.916(95% CI: 1.056-3.477)로 대도시에 거주하는 환자군에서 위험률이 가장 높고, 농어촌 지역, 중소도시 순이었으며, 소득구분 중 Q1(저소득)의 경우 2.036(95% CI: 0.917-4.519), Q2 1.699(95% CI: 1.380-4.815), Q3 0.944(95% CI: 0.364-2.445), Q4(고소득)는 2.273(95% CI: 1.006-5.137)로 Q2, Q3에 비해 Q1, Q4에서 위험률이 높았다. 장애유무에 따라 장애를 가지고 있는 군에서 2.075(95% CI: 0.962-4.477)로 정상인 군의 1.862(95% CI: 1.065-3.257)보다 위험률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제2형 신장계 당뇨병 합병증 환자들의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을 막기 위해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진료지속성을 높일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며, 의원급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들의 외래진료 지속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의료진의 지속적인 노력과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국가적인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


Aggressive glycemic control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complications of diabetes, and to slow the rate of progression of complications. Complications by diabetes that has not been properly cured, and consistently increasing people with diabetes cause an excessive burden on the socio-economic cost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n association between continuity of ambulatory care and the incidence of chronic renal failure.

This study used the Sample Cohort DB provided by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hich includes eligibility data and medical data of about one million people from 2002 through 2012. We excluded the patients that were diagnosed with chronic renal failure before the year 2004, and selected the new patients who advanced to chronic renal failure among patient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with renal complications during the year 2005~2012. We analyzed total 3,565 patients who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ith renal complications at the primary diagnosis(E11.2) and used outpatient.
The dependent variable was chronic renal failure occurrence, and chronic renal failure was defined as patient who is claimed Hemodialysis(5 code ‘O7020’, ‘O9991’), Peritoneal dialysis(5 code ‘O7062’) or Kidney transplantation(5 code ‘R3280’).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ontinuity of ambulatory care, measured by the COC(Continuity of Care) index.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lected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we conducted analyse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using two sample t-test and ANOVA test. And then we performed analyse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 using survival analysis, and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When we adjusted patient’s sex, age, health insurance type, insulin treatment, PCCL index, hospital classification, number of beds, number of doctors, hospital location, it was found that the risk of chronic renal failure occurrence was higher in the group who live in metropolitan areas(HR 2.105, 95% CI 1.040-5.299) compared to the group who live in Urban area(HR 1.700, 95% CI 0.621-4.653), rural areas(HR 1.916, 95% CI 1.056-3.477) in continuity of care bad group. And it had higher risk at High-income group Q4(HR 2.273, 95% CI 1.006-5.137) compared to Low-income group Q1(HR 2.036, 95% CI 0.917-4.519), Q2(HR 1.69...
Files in This Item:
T01438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92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