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5 625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비만 및 주관적체형인식과 불안·우울과의 관련성 : 제 5,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2010-2014) 분석

Authors
 이효민 
Issue Date
2017
Description
보건정책학과 보건정책관리전공/석사
Abstract
우울과 불안장애는 가장 흔한 정신질환으로, 예방 및 중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건강행동과 연관된 불안과 우울상태에 대한 사전파악 및 관련 요인 분석은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정신건강 위험요인의 하나로 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 졌는데, 선행연구들에서 언급된 것처럼 객관적 체형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체형인식에 따른 잘못된 식습관 및 정신과적 문제도 교육 및 사전예방을 통하여 중재 가능한 부분으로 정신건강 영역과
함께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불안과 우울상태 및 비만 율, 주관적 체형인식에 차이를 보이는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불안·우울의 차이를 파악하고, 비만 및 주관적 체형인식과 불안·우울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성별 접근을 통한 비교분석을 하여 비만과 정신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 5,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4)를 이용하였으며, 20세 이상의 전체 대상자 41,102명 중 BMI 및 주관적 체형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산부와 수유부, 불안 및 우울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우울증 의사 진단 하 현재 우울증 유병 중인 경우 대상자에서 제외시켰고, 무응답 자에 대하여 결측 치 처리 후 26,23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AS version 9.4를 사용하였으며, 기술 분석 및 Survey 특성을 반영한 Rao-scott chi-square, logistic regression 분석방법을 시행하였다. 회귀모형은 다른 변수를 보정하지 않은 1단계 모형, 인구사회적변수를 보정한 2단계 모형과 건강행태
요인을 보정한 3단계 모형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모든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남녀 모두 정상체중임에도 과체중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불안·우울상태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성에서 실제 저체중인데 저체중으로 인식할 경우 불안·우울과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여성은 저체중인데 저체중으로 인식할 경우 남성과 반대로, 불안·우울과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양한 혼란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우리나라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이며, 특히 BMI와 주관적 체형인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변수를 사용하여 정신질환이 아닌 불안·우울과의 관련성을 성별로 비교 분석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비만 군 뿐 만아니라, 저체중 군과 왜곡된 체형인식 군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남성과 여성에 특화된 체중 및 체형인식
에 대한 세부분석과 효율적 교육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are the most common mental illnesses, and the need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is emphasized.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anxiety and depressive state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 and the analysis of related factors. In addition, studies on the relationship with obesity as one of the risk factors of mental health have been conducted. As mentioned in the previous studies, not only objective body shape but also perceived body image are related with the mental health and it is preventable and medi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Korean adults of age 20 or older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perceived body image and anxiety, depression by gen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obesity and mental health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377 men and 14,862 women of age 20 or older in the fifth and six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4). To find out the impact of BMI, perceived body image, weight perception patterns to anxiety·depressive condi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4, and Rao-scott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flecting technical analysis and survey characteristics. Regression models include a one-step model with no other variables corrected, a two-step model with adjuste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a three - step model with adjusted health behavior factors.
With all variables under control, both men(OR=1.52(CI=1.07-2.15) and women(OR=1.25(CI=1.06-1.48) who perceived themselves as overweight despite their normal weight were associ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ve condition.
Regarding misperception of weight, underweight male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underweight, their association with anxiety and depressive condition was significantly reduce. On the contrary, there was a significant higher association with anxiety and depressive condition among underweight women who perceived themselves as underwe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 not mental illness, using a combination of BMI and subjective body image percep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compare and analyze by gender.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need to provide an effective individual education program of the proper BMI and accurate body image perception and to develope of the mental health management project for the risk group not only obese but also underweight and the distorted body type awareness group included men.
Files in This Item:
T01436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90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