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6 1782

Cited 0 times in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 항목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영-
dc.date.accessioned2017-11-28T16:30:31Z-
dc.date.available2017-11-28T16:30:3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877-
dc.description임상간호 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 항목을 파악하고 그 임상질문을 분석하여 간호 실무에 근거기반 간호 적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 항목을 파악한다. 둘째, 과별, 경력별 특성에 따른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 항목을 파악한다. 셋째,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 항목의 임상 질문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3년 이상의 중환자실 간호사 68명(1차 설문지), 55명(2차 설문지)으로 자료 수집기간은 2016년 5월 9일부터 2016년 6월 16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이정희(2002)가 개발한 중환자실 간호사 직무분석 도구를 최미선(2012)이 수정 보완한 중환자실 간호사 업무 항목과 Sackett et al(1997)의 PICO 질문지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 항목의 다빈도 소항목은 상처간호, 피부손상사정, 가스교환상태 모니터링, 스트레스 관리, 약물특성 및 상호작용, 프리셉터 활동 그리고 환자 배정 등 총 7개로 나타났다. 대항목으로 분류하면 간호관리가 3문항, 측정 및 관찰이 2문항 그리고 간호실무가 2문항이다. 2. 과별 특성에 따른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 항목에서 상처간호와 환자배정은 내과계에서 순위가 높게 나타났고 스트레스 관리는 외과계에서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그밖에 피부손상사정, 약물특성 및 상호작용 그리고 프리셉터 활동 항목에 대해서 내과계 외과계 중환자실간의 차이점은 없었다. 과별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 다빈도 항목 상위 7개를 통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경력별 특성에 따른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 항목에서 상처간호, 피부손상사정은 일관되게 모든 연차에서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고 스트레스 관리에서 경력이 증가할수록 그 요구도 순위가 높게 나타났고 프리셉터 활동에 대해서는 연차가 낮을수록 그 요구도 순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 EBP 요구도 다빈도 항목 상위 7개를 통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임상질문 빈도가 높았던 항목은 피부손상사정, 상처간호, 가스교환상태 모니터링 순으로 나타났다. 근거기반 요구도 항목 상위 7개 외에 새롭게 추가된 임상질문은 인력조정, ROM간호, EBP 적용 및 프로그램참여 항목이었다.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가 높은 항목과 그에 대한 PICO 질문 요소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각 질문을 살펴보면 현재 실무에서 시행되는 방법과 다른 관점에 대한 중재를 적용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결과에 대해 궁금해 하는 부분이 많았고 상처 간호에 대해서는 이미 증명된 방법에 대해 질문을 구성하는 등 교육이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도 밝혀졌다. 이에 이미 충분한 연구를 통해 밝혀진 근거기반 요구도항목과 임상 질문은 앞으로 간호사 교육이나 임상실무지침서, 프로토콜 구성을 위해 고려될 우선주제로 활용될 것을 권장하는 바이고 그 외 새로운 중재의 접근이 요구되거나 불충분한 근거에 대한 항목이나 질문에 관해서는 추후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increase the application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by analyzing the clinical question and identifying the Evidence-Based nursing needs items of critical care nurses. A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were as follows. First, identify the Evidence-Based nursing needs item. Second, identify the Evidence-Based nursing needs item according to clinical units and clinical career. Third, identify the clinical questions of the Evidence-Based nursing needs item.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using Delphi technique. The subjects were 68 nurses (first questionnaire) and 55 nurses (second questionnaire) of more than 3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May 9, 2016 to June 16, 2016. The research tools were the work items of critical care modified by Choi Mi-seon (2012) and which is developed by Lee Jung-hee (2002) and PICO questionnaire of Sackett et al (1997).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Evidence-Based nursing needs items of critical care nurses were wound care, skin damage assessment, gas exchange status monitoring, stress management, drug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preceptor activity and patient assignment. When classified as a major item, nursing management had 3 items, measurement and observation had 2 items, and nursing practice had 2 items. 2.In the Evidence-Based nursing needs items according to clinical units, wound care and patient assignment in the medical ICUs were higher than in the surgical ICUs. Stress management was ranked in the surgical ICUs than medical ICUs. In the other item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medical ICUs and surgical ICUs in terms of skin damage assessment, drug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s, and precepto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3.In the Evidence-Based nursing needs items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wound care and skin damage assessment were consistently high in all years. As the career in stress management increased, the needs was ranked higher. However, the lower the career, the greater the needs for the precepto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4.Items with high frequency of clinical ques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중환자실 간호사의 근거기반 간호 요구도 항목-
dc.title.alternativeClinical questions of EBP among critical care nurs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Mi 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