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tamin D deficiency adversely affects early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Other Titles
비타민 D 결핍은 인공슬관절치환술 후 초기 기능적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Authors
신근영
Department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교실)
Issue Date
2017
Description
Dept. of Medicine/석사
Abstract
Introduction
Vitamin D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recent years owing to the increasing evidence of its importance in muscle func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patients with low serum vitamin D levels had impairment in early functional outcomes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cohort study that included 92 patient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vitamin D levels as assessed at the preoperative visit: (1) vitamin D deficient group, serum 25-hydroxyvitamin D3 (25(OH)D) levels < 12 ng/mL; (2) vitamin D non-deficient group, serum 25(OH)D levels ≥ 12 ng/mL. American Knee Society Score (KSS) and four other performance tests including the Alternative Step Test (AST), Six Meter Walk Test (SMT), Sit To Stand Test (STS), and Timed Up and Go Test (TUGT) were used for assessment of postoperative function. All assessments were performed one day before and three months after TKA.
Results
Of the 92 patients included in the study, 87 patients performed all required assessments. The mean postoperative functional KSS was significantly lesser in the vitamin D deficient group than in the vitamin D non-deficient group (67.2 vs. 73.4, p = 0.031). The mean values of time taken for postoperative AST (16.6 vs. 14.6, p = 0.033) and SMT (8.8 vs. 7.7, p = 0.012)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the vitamin D deficient group than in the vitamin D non-deficient group. Postoperative STS and TUGT demonstrated higher values for mean time taken in the vitamin D deficient group than in the vitamin D non-deficient group, but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13.6 vs. 12.4, not significant (n.s.); 12.7 vs. 11.7, n.s., respectively).
Conclusions
Early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s following TKA appear to be adversely affected by vitamin D deficiency.
서론
근기능과 육체적 활동에 있어서 비타민 D의 중요성을 밝힌 증거가 많아지면서 , 비타민 D는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비타민 D 결핍이 있는 환자들이 인공슬관절치환술 후 초기 기능적 결과가 더 떨어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서 9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환자들은 수술전 검사에 따라서 2개의 군으로 배정되었는데, 수술전 혈중 25-수산화비타민 D 농도가 12 ng/mL 미만인 경우 비타민 D 결핍군으로 정의하였고 12 ng/mL 이상인 경우에는 비타민 D 비결핍군으로 정의하였다. 수술후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미국 슬관절학회 점수, Alternative step test (AST), Six meter walk test (SMT), Sit to stand test (STS), Timed up and go test (TUGT)를 사용하였다. 모든 평가는 수술 하루 전과 수술 후 3개월째에 시행되었다.
결과
전체 92명중에서 87명의 환자들이 모든 평가를 시행받았다. 수술 후 평균 미국 슬관절학회 기능점수는 비타민 D 결핍군이 비타민 D 비결핍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다(67.2 vs. 73.4, p = 0.031). 수술 후 AST (16.6 vs. 14.6, p = 0.033), SMT (8.8 vs. 7.7, p = 0.012)를 완료하는데 걸린 평균시간은 비타민 D 결핍군이 비타민 D 비결핍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길었다. 수술 후 STS, TUGT를 마치는데 걸린 평균시간은 비타민 D 비결핍군과 비교했을 때 비타민 D 결핍군에서 더 오래 걸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3.6 vs. 12.4, p = n.s.; 12.7 vs. 11.7, p = n.s.).
결론
본 연구에 따르면 인공슬관절 치환술 후 초기 기능적 결과는 비타민 D 결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