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2 632

Cited 0 times in

실어증 환자의 단어 정의하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진주-
dc.date.accessioned2017-11-28T16:30:25Z-
dc.date.available2017-11-28T16:30:2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828-
dc.description언어병리학협동과정/석사-
dc.description.abstract실어증은 뇌 손상으로 인하여 후천적으로 생기는 언어 장애로서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특히 의미와 관련된 영역이 손상되는 경우 이름대기나 단어 정의하기 같은 과제에서 어려움을 보일 수 있다. 단어 정의하기 과제는 정의하려는 대상에 대한 의미적 지식과 더불어 단어를 정의하는데 필요한 관련된 단어들을 언어적인 용법에 맞게 적절하게 표현하는 능력 등 다양한 인지 및 언어 능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 10명과 성별 및 연령대를 일치시킨 정상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구체 단어와 추상 단어 정의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이 산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의 점수와 정의 유형을 분석하고, 실어증 환자의 정의 점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단어 정의하기 과제에서 실어증 환자군은 정상 성인군에 비해 총 정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고,구체 단어와 추상 단어의 핵심 의미 점수 또한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PK-WAB-R의 실어증 지수(AQ)는 실어증 환자군의 정의 점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에서 나타난 정의 유형을 비교했을 때 구체 단어와 추상 단어 모두 출현 빈도에 있어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실어증 환자군에서 나타난 기타 반응 유형 중에 구체 단어에서는 단어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는 유형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들이 이름대기 과제가 아닌 보다 다양한 의미적 처리 과정을 필요로 하는 단어 정의하기 과제에서도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구체 단어와 추상 단어로 구분하여 수행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phasia is a primary language disorder resulting from an acquired brain damage without other cognitive, motor or sensory impairments. If lesions are found near areas that are responsible semantics, these individuals show difficulties in performing confrontation naming tasks or word-defining tasks. In comparison to confrontation naming tasks, word-defining tasks require not only semantic knowledges of given lexicons but also abilities to express elements or concepts related to that given lexicons using comprehensive cognitive and linguistic knowledge. In the current study, 10 patients with aphasia and 10 age-matched normal adults performed word defining tasks consisted of 5 concrete words and 5 abstract words. Task performances were analyzed based on total scores(obtained by adding scores of core and supplementary meanings), categories of discourse and possible factors that may influence on total scores. Results showed that total scores and total core meaning scores obtained by patients with aphasi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s obtained by age-matched normal adults. Aphasia Quotient(AQ) from the PK-WAB-R is the only factor that had an influence on the total sc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tegories of discourse of both concrete and abstract words between two groups. However, subjects with aphasia used more lexicons in physical categories when defining concrete words. Among different categories of discourse, patients with aphasia used words that were categorized in a 'Not enough information' category the most. An important implication of our study derives from our attempt to administer a word-defining task consisted of both concrete and abstract words patients with aphasia and analyze their performances. Given that patients with aphasia showed poor performance on word defining tasks regardless of ‘concreteness’ of words, future research is warranted on how performances on word-defining tasks can be facilitat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실어증 환자의 단어 정의하기-
dc.title.alternativeWord definition in Aphasi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k, Ginju-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