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 506

Cited 0 times in

소방관의 요추 후관절 퇴행성 변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lumbar facet joint degenerative changes of the firefighters 
Authors
 김동현 
Issue Date
2017
Description
산업환경보건학과 산업보건전공/석사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소방관에서 직업적 요추 부하로 인한 요추 후관절 퇴행이 병원 행정직 근로자보다 더 잘 생기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전국 소방서를 5개 경북, 경남, 서울, 수도권, 호남, 부산 지역별로 나누어 소방서를 추출하고 추출한 소방서의 남성 소방관 연령군으로 층화하여 341명을 무작위 추출하였다. 대조군으로 동일 지역권 5개 대학병원에서 연령군별로 병원행정직 80명을 무작위 추출하였다. 설문지 조사와 흉추12번에서 천추1번까지 MRI 촬영을 포함한 임상검사를 수행하였다. 후관절 퇴행은 Pathria 등에 의해서 분류된 진단법과 등급법을 사용하였다. 등급 0을 후관절 퇴행 없음으로 하였고 등급 1, 2 그리고 3을 후관절 퇴행 있음으로 재분류 하였다. 후관절 퇴행의 유병률을 나이와 직업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소방관에서 요추1-요추2(L12), 요추4-요추5(L45)의 후관절 퇴행의 유병률은 각각 31%, 75%였다. 병원 행정직 근로자의 후관절 퇴행의 유병률은 L12, L45에서 각각 18%, 69%였다. 병원 행정직 근로자를 기준으로 하여서 소방관의 요추 후관절 퇴행의 비차비를 나이, 체질량지수, 운동빈도, 흡연을 보정(adjustment)하고 분석하였을때, 요추3-요추4(L34)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L12, OR = 2.644, 95%CI = 1.317-5.310; L23, OR = 2.285, 95%CI = 1.304-4.006; L45, OR = 1.918, 95%CI = 1.037-3.544; L5S1, OR = 1.811, 95%CI = 1.031-3.181).
결 론 : 이 연구에서 요추 후관절 퇴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을 보정하였을 때 소방관이 병원 행정직 근로자보다 요추 후관절 퇴행이 생길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밝혔다. 이것은 소방관의 육체적으로 힘든 요추 부담 직업이 요추 후관절 퇴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후관절 퇴행과 요통과의 관계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Objective: Only few studies have been publishe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lumbar load and facet joint degeneration (FJD).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hysical lumbar load on FJD by compar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between firefighters (FFs) and hospital office workers (OWs).
Subject and Method: We randomly sampled 341 male FFs and 80 male OWs at hospitals by age stratifi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and clinical examination, including lumbar spine (T12-S1) MRI, were conducted. FJD was diagnosed and graded by using the classification of Pathria et al. and reclassified into two groups as follows: no FJD (grade 0) and FJD (grades 1, 2, and 3). The prevalence of FJD was analyzed according to age and occupational groups.
Results of the Study: The prevalence of FJD ranged from 31% (L1–L2) to 75% (L4–L5) in the FFs and from 18% (L1–L2) to 69% (L4–L5) in the OWs. After adjustment for age, body mass index, and frequent physical exercise, the adjusted odds ratios (OR) for FJD in the FFs compare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Ws for all lumbar spinal levels, except for L3–L4 (L1–L2: OR, 2.644; 95% confidence interval [CI], 1.317–5.310; L2–L3: OR, 2.228; 95% CI, 1.304–4.006; L4–L5: OR, 1.918; 95% CI, 1.037–3.544; L5–S1: OR, 1.811; 95% CI, 1.031–3.181).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FFs exhibit a greater likelihood of having FJD than OWs after controlling for other risk factors of FJD. This suggests that the physically demanding job of FFs affects their risk of developing FJD.
Files in This Item:
T01422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5476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