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임플란트 경부 표면의 미세나사홈이 주위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6년간의 후향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영석-
dc.date.accessioned2017-07-11T16:10:42Z-
dc.date.available2017-07-11T16:10:4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312-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임플란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는 임플란트의 기능적 및 심미적 성공에 큰 장애가 되는 요인이다. Adell은 임플란트에 지대주 연결 후 첫 1년간 평균적으로 1.5mm의 변연골 소실을 보이고, 이 후에는 매년 0.1mm이하의 변연골 흡수가 있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변연골 흡수를 막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행해져 왔다. 특히 임플란트 경부의 특징에 따라서 변연골의 흡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경부에 포함된 미세나사홈이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임플란트 경부 디자인을 제외한 모든 디자인이 동일한 두 종류의 임플란트 총 108개를 식립한 65명에서 임플란트 식립시부터 보철물 장착한 후 평균 6년 후 정기 검사 시까지의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1. 보철물 장착후 6년 뒤 검사 결과 미세나사홈을 가진 Silhouette IC Laser-LokTM이 미세나사홈이 없는Silhouette IC 보다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적었다(p<0.05). 2.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연간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 흡수량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3. 사용된 임플란트 전체에 대한 성별, 악궁, 악궁내 위치, 나이, 골재생술 술식 여부, 보철물 형태등이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제한이 있긴 하지만, laser를 이용한 미세나사홈이 부여된 임플란트가 그렇지 않은 임플란트 보다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적게 일어난 것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미세나사홈이 있는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골형성 및 결합조직 부착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고, 결합조직 섬유의 치아 장축에 대한 수직적 부착을 유도하여 변연골 흡수 및 연조직 퇴축을 방지하는 데에 기여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임플란트 경부 표면의 미세나사홈이 주위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6년간의 후향적 연구-
dc.title.alternativeInfluence of microgroove design around the implant neck on marginal bone resorption :-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 Young Su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