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6 902

Cited 0 times in

회귀 및 분석트리를 이용한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에서의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의 기능적 결과의 예측 인자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predictive factors of functional outcome after tDCS in post-stroke hemiparetic upper limb by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Authors
 박종범 
Department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재활의학교실) 
Issue Date
201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뇌졸중 이후 손상된 운동기능의 회복은 뇌졸중 재활에 있어 핵심 목표 중 하나이다. 최근 비침습적 뇌자극 중 하나인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은 자극부위의 신경흥분성을 조절하여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향상에 있어 경두개직류전기자극치료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보다 효율적인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을 위해 치료에 대한 보다 좋은 반응을 보이는 환자군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촌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하여 2주간의 경두개직류전기자극 및 운동치료를 시행한 131명의 초발 뇌졸중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인구학적 특성, 신경영상의학적 특성, 수행능력 평가 및 신경생리학적 특성을 포함하였다. 푸글-마이어 상지점수 (Fugl-Meyer assessment upper extremity)의 향상률을 측정하여 경두개직류전기자극치료에 의해 호전되는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푸글-마이어 상지점수 향상률의 임상적극소중요차이를 달성한 경우를 반응군으로 정의하여 회귀 및 분석 트리(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ART) 분석을 통해 반응군 달성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규명하였다.
CART 분석에서 경두개직류전기자극에 대한 반응군 여부를 예측하는 데 유의한 인자는 초기 FMA-UE 점수, 15ms에서의 병변반대측 피질내촉진, 젭슨-테일러 수지기능평가 (Jebson-Taylor hand function test, JHFT) 가운데 3번째 하위검사 항목인 ‘작은물건집기’에 대한 수행 시간, 일차운동영역의 손상 여부였으며, 초기 푸글 마이어 상지 점수가 20점 이상이며 병변반대측 피질내촉진 값이 100%를 초과할 경우 가장 높은 확률로 반응군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회귀 및 분석트리가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의 효과를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인 치료대상의 선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01404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재활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Park, Jong Bum(박종범)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2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