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3 1086

Cited 0 times in

제2형 당뇨환자에서 외래 복약순응도와 당뇨합병증의 관계 : 2002~2013년 국민건강보험공단 표준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outpatient medication compliance and diabet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 
Authors
 서범준 
Issue Date
2016
Description
보건통계학과/석사
Abstract
연구배경
국내의 30세 이상 당뇨병 유병률은 2006년 5.6%에서 2013년 8.0%로 증가하고 있으며 10대 사망원인 중 당뇨병은 5위로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다. 당뇨병은 고혈압,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신장질환 등 각종 합병증에 직간접적으로 이환되어 개인 뿐 아니라 국가적 관리가 중요하다. 세계당뇨병연맹은 향후 25년 내에 당뇨병 환자가 약 5억 9천만명으로 증가하면서 당뇨병의 관리가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적극적인 혈당조절을 통해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률을 낮춤으로서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위험률을 절반이상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복약순응도가 당뇨 합병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2002년에서 2012년 건강보험공단에 청구된 자료에서 만 30세 이상이면서 최초 당뇨병 진단을 받고 외래에서 경구용 혈당강하제 처방을 받은 19,3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뇨 합병증을 종속변수로 하여 당뇨약제의 주성분 코드를 이용하여 산출된 외래 복약순응도를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인 특성, 건강행태적인 특성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변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카이스퀘어 검정(chi-square test), 카플란마이어 생존함수와 로그순위 검정, 콕스 비례위험 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당뇨 합병증 발생률을 살펴보면, 성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당뇨 합병증 발생률이 높았다. 보험구분은 의료급여가 지역, 직장에 비해 당뇨 합병증 발생률이 높았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당뇨 합병증 발생률이 낮았고 외래 복약순응도가 높을 수록 당뇨 합병증 발생률이 낮았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복약순응도 수준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을 제외하고는 연령이 높을수록 복약순응도 수준이 높았다. 직장과 지역에 비해 의료급여 가입자의 복약순응도 수준이 매우 낮았고 소득이 낮을수록 복약순응도 수준이 낮았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당뇨 합병증 생존 함수에 차이가 있었다. 카플란마이어 생존 함수를 살펴보면, 외래 복약순응도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당뇨 합병증 생존 확률이 더 높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당뇨 합병증 생존 확률이 높았다. 60대 이하가 70~80대 이상 고령층보다 당뇨 합병증 생존 확률이 높았다. 의료급여 가입자가 직장이나 지역 가입자보다 당뇨 합병증 생존 확률이 낮았다. 의료급여 대상자가 다른 소득분위에 비해 당뇨 합병증 생존 확률이 낮았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당뇨합병증 발생 위험률을 콕스 비례위험 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 1.12배 높았다.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위험률이 현격하게 감소하였고 의료급여에 비해 직장, 지역가입자의 위험률이 낮았다. 외래 복약순응도를 사분위수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4사분위를 기준으로 3사분위는 위험률이 1.17배 높았고 2사분위는 위험률이 1.32배 높았으며 1사분위는 1.17배 높았다.

결 론
외래 복약순응도 수준에 따라 당뇨 합병증은 발생률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 연령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보험구분과 같은 사회경제적 특성도 당뇨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당뇨병은 복약순응도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고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질환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01405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2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