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1 1494

Cited 0 times in

지속적 신대체요법 간호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연지-
dc.date.accessioned2017-07-11T16:10:16Z-
dc.date.available2017-07-11T16:10:1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091-
dc.description임상간호 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지속적 신대체요법 간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을 조사하여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Y대학 부속 병원의 내·외과계, 심혈관계, 신경외과계, 암병원 중환자실에 재직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총 94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자에게서는 2016년 5월 15일에서 2016년 5월 29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지속적 신대체요법 간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CRRT에 대한 지식 점수는 평균 65.6%의 정답률을 나타내었다. 지식은 대상자의 근무부서(p=.02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CRRT 간호경험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p=.049) 2. 대상자의 CRRT 간호에 대한 태도의 전체 평균은 총 4점 중 3.2(±.4)점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직위(p=.002)와 총 임상경력(p=.026)이 높고 재직 중 받은 CRRT 교육횟수(p=.002)가 많을수록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CRRT 간호 수행능력은 총 4점 만점 중 평균 3.5(±.5)점이었고, 대상자의 부서(p=.02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 임상경력(p=.001)이 높고 CRRT 교육횟수(p<.001)가 많을수록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CRRT 간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CRRT 간호에 대한 태도와 수행능력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18, p<.001). 5. CRRT 간호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상자의 특성 중 총 임상경력과 총 CRRT 교육횟수, 간호사의 태도 점수가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총 임상경력이 높고(p=.048) 총 CRRT 교육횟수가 많을수록(p=.046), CRRT 간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p=.004)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속적 신대체요법 간호 수행에는 긍정적인 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지속적 신대체요법 간호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태도를 중재 요인으로서 고려해야 하며, 부서 간의 수행능력 차이를 좁히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간호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지속적 신대체요법 간호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
dc.title.alternativeKnowledge, attutudes and performance on CRRT nursing among ICU nurs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Yeon Ji-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