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4 790

Cited 0 times in

의료기관 인력현황에 따른 혈액투석 환자의 입원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최훈희 
Issue Date
2016
Description
보건대학원/석사
Abstract
연구 목적

의료기관과 환자의 특성에 따른 혈액투석환자의 입원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의 요양급여비용 청구데이터 중 만성 신장질환을 주상병으로 하는 혈액투석 외래환자 47,891명으로 6,028,712건이 연구대상이다. 분석방법은 수진자 특성 및 의료기관 특성이 외래 내원 이후 입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화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ed equation: GEE) 모형을 적용한 포아송 회귀분석(Poisson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건 중 입원건은 35,517건(0.59%)가 발생하였다. 혈액투석환자 특성 중 연령은 50∼59세와 60∼69세 및 70세 이상의 연령군이 49세 이하 연령군에 비해 입원이 각각 1.221배(1.107-1.346, p<.0001), 1.506배(1.367-1.658, p<.0001), 1.789배(1.608-1.990, p<.0001) 많았다. 보험자 유형별은 건강보험 가입자에 비해 의료급여 가입자가 1.326배(1.274-1.380, p<.0001) 입원이 많았다. 이전 연도에 입원 경험이 있는 경우 1.849배(1.771-1.931, p<0.001) 입원이 증가하였으며, 유병기간이 6년 이상이 경우는 2-3년인 경우에 비해 0.925배(0.874-0.977, p=0.0057) 입원이 적었다.

혈액투석을 제공하는 의사 중 혈액투석 전문의사 분율의 증가 및 혈액투석 간호사수의 증가는 혈액투석 환자의 입원을 감소하였다(혈액투석 전문의사 분율 10% 증가 시: 상대위험도 0.989(0.980-0.998, P=0.0201), 혈액투석간호사 10명 증가 시: 상대위험도 0.886(0.817-0.983, P=0.0202)). B형간염환자격리용 혈액투석기 보유 기준상 미충족 기관의 경우 충족된 기관에 비해 입원이 1.427배(1.176-1.733, p=0.0003) 많았다. 총 진료비 중 만성 신부전 진료비용 분율에 따라서는 10% 증가할 때마다 입원이 0.928배(0.913-0.943, p<.0001) 적었다.



결 론

이 연구에서는 혈액투석환자의 입원이 혈액투석 인력구조 및 시설, 그리고 혈액투석의 집중도에 따라 감소하였다. 따라서 혈액투석의 질을 높이기 위해 현 혈액투석기관 인증제에 적정성 평가지표를 정식지표로 도입하여 가감지급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394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98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