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5 625

Cited 0 times in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관련성

Authors
 주선희 
Issue Date
2016
Description
보건대학원/석사
Abstract
연구배경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자살은 오늘날 개인 뿐 아니라 국가의 노력이 필요한 사회적 문제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구강건강은 건강증진을 위한 기본적인 요소이며, 개인의 구강건강상태는 상실치아의 수로 예측할 수 있다. 최근 구강건강과 정신건강의 관련이 보고되고 있으나,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1차년도(2013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중 구강검사를 실시하고 자살변수에 결측이 없는 5,083명을 대상으로 상실치아 수를 세 그룹(0개, 1-3개, 4-28개)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혼란변수를 Model 1에서는 연령, 성별을 보정하였고, Model 2에서는 Model 1에 추가로 가구소득, 교육수준, 결혼상태, 만성질환 유무, 주관적 건강인식, 활동제한, 2주 연속 우울감 여부를 보정하였으며, Model 3에서는 Model 2에 추가로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 유무의 혼란변수를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의 관련성은 Model 1, 2, 3 모두에서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해 1-3개, 4-28개인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실치아 수와 자살시도의 관련성은 Model 1에서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해 1-3개인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4-28개인 그룹의 오즈비는 5.88배(95% Confidence Interval, CI: 1.99-17.34)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Model 2와 3에서도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하여 1-3개인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4-28개인 그룹의 오즈비가 각각 4.34배(95% CI: 1.46-12.85)와 3.62배(95% CI: 1.11-11.73)로 유의하게 높았다.

보철물 및 임플란트가 모두 없는 대상자만 층화하여 분석하였을 때, 상실치아 수와 자살생각의 관련성은 Model 1에서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해 1-3개인 그룹의 오즈비는 1.76배(95% CI: 1.12-2.76)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4-28개인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odel 2와 3에서도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하여 1-3개, 4-28개인 그룹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철물 및 임플란트가 모두 없는 대상자만 층화하여 분석하였을 때, 상실치아 수와 자살시도의 관련성은 Model 1에서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해 1-3개인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4-28개인 그룹의 오즈비는 10.72배(95% CI: 3.16-36.3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Model 2와 3에서도 상실치아 수가 0개인 그룹에 비하여 1-3개인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4-28개인 그룹의 오즈비가 각각 21.91배(95% CI: 3.71-129.39)와 11.25배(95% CI: 1.89-67.04)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상실치아 수가 4-28개인 경우, 특히 보철물 및 임플란트가 모두 없는 경우, 상실치아 수가 0인 경우에 비해 가구소득, 교육수준과 같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씹기, 말하기 문제를 보정한 후에도 자살시도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상실치아 수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와 독립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알아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향후 상실치아 수의 상태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와 관련된 요인을 다각적으로 고려한 후속 연구와 이를 적용한 자살 예방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393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97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