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5 933

Cited 0 times in

지역별 특성이 회피가능한 암 사망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서윤 
Issue Date
2016
Description
보건대학원/석사
Abstract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지역별 건강수준과 의료공급 수준이 회피가능한 암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회피가능한 암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및 궁극적으로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247개 시군구로 자료 수집은 통계청의 사망원인자료, 통계청 그리고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시군구단위로 종합하여 수집했다. 지역 수준의 종속변수인 시군구별 연령표준화 회피가능 사망률을 산출하여 지역 간 건강 건강행태와 의료공급 정도의 차이를 측정했으며, 이들 간의 관계를 상관분석과 포아송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했다. 세부적인 분석으로 남녀 다빈도 암 종 별 그리고 도시 구분별로 각각 나누어 층화별 분석을 추가 분석했다.



연구 결과

전국 247개 시군구의 회피가능한 암 사망률은 전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대체적으로 높았다. 암 종별로 보았을 때, 남자는 회피가능한 간암 사망이 인구 10만명당 16.8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폐암이 9.99명, 그리고 위암이 8.48명이었다. 여자는 회피가능한 유방암 사망이 인구 10만명당 4.97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위암이 4.08명, 폐암이 3.50명, 간암이 2.97명 그리고 자궁경부암이 1.65명이었다.

전국 시군구를 모두 대상으로 했을 때, 남자는 전문의 비율, 인구 천명당 의료기관수, 흡연율, 음주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보였으며, 여자는 건강수준에서는 비만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도시 구분에 따라 상관관계는 대도시 내에서는 남자의 경우, 병의원 비율과 흡연율, 암검진율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여자는 전문의 비율, 병의원비율, 비만율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소도시 내에서 남자는 인구 천명당 의료기관수, 병의원비율, 흡연율, 암검진율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여자는 흥미변수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포아송 회귀분석에서 남자는 인구 천명당 의사 한명씩 많아질수록 전문의 비율이 커질수록 그리고 병의원 비율이 증가할수록 회피가능 암 사망이 각각 0.98배, 0.98배, 0.96배로 감소했으나, 인구 천명당 의료기관 수가 증가할수록 회피가능 암 사망이 1.18배로 증가했다(인구 천명당 의사수: 상대위험도 0.98, 유의확률 0.0455; 전문의 비율: 상대위험도 0.98 유의확률 0.0232; 인구 천명당 의료기관수: 상대위험도 1.18 유의확률 0.0181; 병의원 비율: 상대위험도 0.96 유의확률 0.0038). 건강수준을 표현하는 변수에서는 흡연율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10% 증가할 때마다 회피가능 암 사망이 1.10배 증가했다(상대위험도 1.10 유의확률 0.0002). 여자는 전문의 비율이 10%씩 증가할수록 회피가능 암 사망 위험이 1.04배 증가했으며, 건강수준 변수 중에서는 비만율이 10%씩 증가할수록, 회피가능 암 사망 위험이 1.14배 증가했다(전문의 비율: 상대위험도 1.04 유의확률 0.0306; 비만율: 상대위험도 1.14 유의확률 0.0204).



결론

암은 의료기술이 점점 발달할수록 만성질환화 되어 가며 질병 부담을 가중시킨다. 보건의료제도의 목표는 국민의 건강을 보장하고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건강 수준이 좋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에 있는 보건소와 같은 일차의료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에서의 물리적인 접근성과 관 련된 문제는 없지만, 일차예방 또는 검진으로 회피가능 암 사망률과 의료 기술로 회피가능한 암 사망률의 차이가 너무나도 큰 점을 고려를 했을 때, 한국의 의료체계에 있어 일차예방과 이차예방, 조기 검진과 관련된 활동들이 취약점이며 이런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암 뿐만 아닌 다른 질병의 예방적인 생활습관이나 검진과 같은 활동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며 공공의료기관을 이런 용도로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또한 이런 건강과 관련된 교육을 홍보 시, 교육 대상 또한 넓혀 위험요인에 많이 노출 될 가능성이 높은 청소년들도 포함시켜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T01388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92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