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HMGB1 전처리에 의한 NLRP3 인플라마솜 활성 조절
| DC Field | Value | Language |
|---|---|---|
| dc.contributor.author | 박수정 | - |
| dc.date.accessioned | 2017-07-07T16:10:47Z | - |
| dc.date.available | 2017-07-07T16:10:47Z | - |
| dc.date.issued | 2016 |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873 | - |
| dc.description | 의과대학/석사 | - |
| dc.description.abstract | 인플라마솜은 선천면역으로 외부 병원성 물질 또는 손상된 세포를 인식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숙주 생존력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면역반응이 조절되지 않으면 오히려 자가 면역질환 또는 면역질환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인플라마솜 신호 전달은 엄격하게 조절 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플라마솜 조절 기작에 대해 많이 밝혀진 바가 없다. HMGB1은 핵 내에 존재하는 핵단백으로서 DNA 구조 유지와 전사 조절에 관여한다. LPS와 같은 외부 스트레스 또는 endo-toxemia와 sepsis에서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분비된 HMGB1은 후기 매개체로 TLR9 ligand인 CpG-ODN, TLR4 ligand인 LPS와 복합체를 형성하여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증진시켜 염증반응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최근 HMGB1의 전처리에 의해 ischemia-reperfusion injury를 감소시켜 LPS tolerance를 일으킬 수 있다는 이점들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HMGB1 전처리에 의한 immune tolerance 효과는 TLR에 의한 NF-κB 신호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inflammasome tolerance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재조합 HMGB1 단백질을 마우스 대식세포에 전처리 하였을 때 인플라마솜 tolerance가 유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재조합 HMGB1을 전처리한 후 인플라마솜을 활성화 시켰을 때 NLRP3 인플라마솜 특이적 IL-1β와 IL-18의 분비가 감소하며 HMGB1처리 시 인플라마솜 음성조절인자인 TRIM30α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RIM30α를 유도하는 lymphotoxin β receptor (LTβR)와 HMGB1의 결합을 면역침강법과 ELISA로 확인하였으며 LTβR의 agonistic antibody의 전처리를 통해 인플라마솜 tolerance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더 확인하고자 LTβR 결손 마우스의 BMDM세포에 HMGB1 전처리 시 인플라마솜 tolerance가 감소됨을 확인하여 HMGB1 전처리에 의한 인플라마솜 tolerance는 LTβR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MGB1을 전처리 하였을 때 TRIM30α의존적으로 ROS level이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마우스 모델에서도 HMGB1 전처리에 의한 인플라마솜 tolerance가 유도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처리된 HMGB1은 LTβR와 결합하여 TRIM30α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NLRP3 인플라마솜 활성을 억제시킬 수 있음을 새롭게 제시하는 바이다. |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 dc.title | HMGB1 전처리에 의한 NLRP3 인플라마솜 활성 조절 | - |
| dc.type | Thesis |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Su Jung |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