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1 995

Cited 0 times in

운동부하 검사 상 흉통 유발 여부에 따른 관상동맥협착증 관련 요인

Authors
 고나희 
Issue Date
2015
Description
보건대학원/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을 받고 운동부하 검사 동안 흉통 유발 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 운동부하 심전도, 관상동맥협착증 소견과의 관련성, 관상동맥협착증의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후향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2014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심장혈관병원에서 운동부하 검사 시행 후 양성판정을 받고 1개월 이내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 받은 입원환자 총 689명 중에서 운동부하 검사 결과 양성판정 이후 시술 없이 관리 되는 자와 기존에 관상동맥협착증 진단을 받은 과거력이 있는 자를 제외한 187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18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SPSS 22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관상동맥협착증 유무에 따른 운동부하 검사 상 무증상 환자와 흉통 유발 환자의 차이 및 운동부하 검사 상 흉통 유발 여부와 관상동맥협착증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t-검정,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고, 관상동맥협착증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환자 187명 중 운동부하 검사 동안 흉통이 유발된 환자는 59명이었고, 무증상 환자는 128명이었다. 흉통 유발 환자 중 관상동맥협착증은 46명이었고, 무증상 환자 중 관상동맥협착증은 82명이었다. 관상동맥협착증 유무에 따라 구분하면 관상동맥협착증이 없는 경우는 흉통 유발 여부에 따라 연령과 이상지질혈증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운동부하 심전도를 비교해 보면 관상동맥협착증이 없는 경우에는 흉통 유발 여부에 따른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관상동맥협착증이 있는 경우에는 운동시간, Workload(METs), Max predicted HR, Max HR이 흉통 유발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흉통이 유발된 경우보다 무증상인 경우 운동시간, Workload(METs), Max predicted HR, Max HR 모두 더 높게 나타났다.
운동부하 검사 상 흉통 유발 여부와 관상동맥협착증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전형적 흉통 과 비전형적인 흉통 여부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성의 경우는 흉통 유발 여부와 관상동맥협착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 회복시간, 이상지질혈증에 따라 관상동맥협착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무증상 환자인 경우 관상동맥협착증 오즈비가 남성 4.23배(95% 신뢰구간: 1.450-12.429)와 회복시간 5분 이상인 경우 3.09배(95% 신뢰구간:1.089-8.733)로 높게 나왔고, 흉통 유발 환자인 경우 관상동맥협착증 오즈비가 이상지질혈증 2.33배(95% 신뢰구간:1.046-5.202), 회복시간 5분 이상인 경우 2.85배(95% 신뢰구간:1.115-7.273), 남성 4.53배(95% 신뢰구간1.743-11.764)로 높게 나왔다. 따라서 운동부하 검사 상 흉통 유발 여부에 따른 관상동맥협착증 관련 요인을 비교해 본 결과 이상지질혈증을 제외하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운동부하 검사 양성인 경우 중 흉통 유발 여부에 따른 관상동맥협착증 관련요인을 확인하였다. 운동부하 동안 흉통이 유발되지 않는 무증상 대상자이더라도 45세 이상의 남성 또는 운동부하 검사 상 회복시간이 5분 이상인 대상자는 관상동맥협착증 진단을 위해서 관상동맥 조영술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다기관 전향 연구로 관상동맥조영술 시행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A01356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60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