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 611

Cited 0 times in

The effect of enamel matrix derivative(EMD) in combination with deproteinized bovine bone material(DBBM) on the early wound healing of rabbit calvarial defec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종관-
dc.date.accessioned2017-05-04T07:27:31Z-
dc.date.available2017-05-04T07:27:3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issn0250-335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7317-
dc.description.abstract치주치료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상실된 치주조직의 형태적, 기능적 재건이다.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enamel matrix derivative: EMD)는 치주 병소에 사용시 상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치주인대 및 백악아세포를 활성화시켜 무세포성 백악질 및 치주인대와 골조직의 생성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는 골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시키며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 및 mineralized nodule의 형성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끼 두개골 결손부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이종골 이식재를 이식한 후 골밀도를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고, 신생골 형성 및 주변 조직 반응을 조직학적으로 관찰, 평가하고자 하였다. 토끼 두개골에 6 mm trephine bur(외경 8 mm)를 이용하여 경뇌막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4개의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아무것도 이식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이종골 이식재 (Bio-Oss®, Geistlich, Wolhusen, Switzerland)을 이식한 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 (Emdogain®, Biora, Inc., Sweden)만 이식한 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이종골 이식재를 혼합하여 이식한 군을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재료를 이식한 후 비흡수성 차폐막 (Tefgen®, Lifecore Biomedical, Inc., U.S.A.)을 위치시키고 흡수성 봉합사로 일차봉합을 시행하였다. 각 군당 술 후 1, 2, 4주의 치유기간을 설정하였다. 동물을 희생시킨 후 두개골을 절제하여 먼저 방사선학적인 골밀도 측정을 시행한 후 10% formalin에 고정한 후 통법에 따라 조직표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 방사선학적인 평가에서 1, 2, 4주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 비교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에서 더 큰 골의 밀도를 보이고 있었다 (P<0.01). 하지만, 동일한 시기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P>0.05),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의 차이 또한 발견할 수 없었다 (P>0.05). 2. 조직학적인 평가에서 1, 2, 4주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 비교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에서 골의 형성이 더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이 대조군보다 2주에서 더 많은 신생골을 볼 수 있었으며,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보다 1, 2주에서 더 많은 신생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는 토끼 두개골 결손부 치유단계에서 초기 골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골 이식시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적용하는 것은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format.extent199~216-
dc.languageKorean-
dc.publisher대한치주과학회-
dc.relation.isPartOf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대한치주과학회지)-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The effect of enamel matrix derivative(EMD) in combination with deproteinized bovine bone material(DBBM) on the early wound healing of rabbit calvarial defects-
dc.title.alternative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혼합된 이종골 이식재가 토끼 두개골 결손부 초기 치유에 미치는 영향-
dc.typeArticle-
dc.publisher.locationKorea-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Periodontics (치주과학교실)-
dc.contributor.googleauthorYou-seok Kim-
dc.contributor.googleauthorHyun-seon Jang-
dc.contributor.googleauthorJu-chol Park-
dc.contributor.googleauthorHeoung-jung Kim-
dc.contributor.googleauthorJong-woo Lee-
dc.contributor.googleauthorChong-kwan Kim-
dc.contributor.googleauthorByung-ock Kim-
dc.identifier.doiOAK-2005-02454-
dc.contributor.localIdA00914-
dc.relation.journalcodeJ01492-
dc.relation.journalsince1973~2009-
dc.relation.journalafter2010~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dc.subject.keyword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
dc.subject.keyword이종골-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Chong Kwan-
dc.citation.volume35-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199-
dc.citation.endPage21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대한치주과학회지), Vol.35(1) : 199-216, 2005-
dc.date.modified2017-05-04-
dc.identifier.rimsid48489-
dc.type.rimsART-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Periodontics (치주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