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616

Cited 0 times in

모자건강관리를 위한 위험요인별 감별평점분류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광옥-
dc.date.accessioned2015-12-24T10:57:36Z-
dc.date.available2015-12-24T10:57:36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186-
dc.description보건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모자보건의 특수성과 중요성을 인정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모성과 영유아의 건강관리와 질병예방의 효율적인 사업수행을 위하여 "위험요인별 모자건강관리방법론"을 구상하여 그의 구체적인 방법과 기술의 개발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위험요인별 관리방법이 란 모자건강관리 체계확립을 위한 운영기구로서 국민건강향상을 위한 포괄적인 건강사업의 테두리 안에서 건강관리와 보건의료의 도움이 더 요구되는 집단이나 개인에게 집중적인 관심과 혜택을 부여 하므로서 제한된 보건의료 인력과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여러나라에서는 사전에 얻어질 정보로서 이와 관련된 위험요인들을 확인하고 위험한 임신결과를 감별해 내는 연구방법에 촛점을 두고 있으며, 임신결과의 결정요인들을 계량화하여 평가할 수 있는 위험요인별 감별평점분류기준 개발에 노력하고있다. 위험요인별 감별평점 분류기준은 임신부들에게 산전관리를 수행하는 동안 위험집단과 비 위험집단으로 쉽게 분류하여 주는 기법을 설정해 주는 것으로서 이의 기본 조건은 구성과 이용이 간결하고 용이하며, 이론적으로 타당하고 감별능력이 높아야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기본조건에 합당하고 가능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모자건강관리를 위한 위험요인별 감별평점분류기준을 개발하여 일차 보건의료수준에서 간호-조산원, 보건진료원들로 하여금 임산부들의 산전간호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용이하게 위험집단과 비 위험집단을 분류하는데 기여코저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모자건강관리사업은 보건의료의 요구도가 높은 대상에게 더 많은 관심과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제한된 보건인력과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기하기 위하여 이용이 간편하고 합당하며 이론적으로 타당하고 감별능력이 높은 "위험요인별 감별평점분류기준"의 개발이 요구되는 바, 이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1982떤 1월 1일부터 1982년 12월 31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분만한 임산부 2,282명으로 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인구보건연구원에서 작성한 "위험요인 색출을 위한 조사표"와 국제출산력 연구소에서 개발한 903호 "모성 기록표"를 참고로 작성한 조사표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임산부의 의무기록부를 기본자료로 하여 수집하였고 최확도법을 적용하여 전자계산조직으로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모자건강관리를 위한 위험요인들 중 감별분류기준의 요인으로 기대되는 위험요인은 임산부의 연령, 결혼상태, 의료_보험종별, 첫 임신시 연령, 임신횟수, 제왕절개경험현존자녀수, 조산아출산경험, 다태임신, 선천성기형아출산경험, 다태임신, 선천성기형아출산경험, 이상태위경험, 이상산과력, 과거병력, Hb수치, 혈압상태, 심장상태, 외모건강상태, 부종상태, 복부진찰결과, 자궁경관상태, 골반상태, 주요호소 및 병원방문이유등이 었다. B. 모자건강관리를 위한 위험요인별 감별평점분류기준은 본문 표4와 같다. C. 모자건강관리를 위한 위험요인별 감별평점분류기준의 타당성은 각 집단별로 본 결과, 민감도는 태아(신생아)측 특성에 의한 위험집단 A^^1 은 75%, 모성측 특성에 의한 위험집단 A^^2 는 78%, 모성 및 태아(신생아) 양측의 특성에 의한 위험집단 A^^3 는 92%이었으며, 위험집단으로 분류한 집단 A^^l, A^^2, A^^3 를 모두 합하여 본 결과 85%이었다. 그리고 특이도는 68%이었다. D. 모자건강관리를 위한 위험요인별 감별평점분류기준의 진단능력 (diagnosability)은 위험집단의 유병율에 따라 달라지므로 유병율을 5%, l0%, 20%, 30%, 40%, 50%, 60% 라고 가정할 경우의 진단능력은 각각 12%, 23%, 40%, 53%, 64%, 75%, 80%로 나타났다. 또한 본 병원에 내원한 임산부들 중 위험집단으로 예측되는 유병율은 63%로서 이를 적용하여 볼 때 진단능력은 82%이었다. [영문] For the flexible and rational distribution of limited existing health resources bases on measurements of individual risk, the socalled Risk Approach is belong propos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 a managerial tool in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program. This approach, in principle, puts us unde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technique by which we wall be able to measure the degree of rusk or to discriminate the future outcomes of pres-nancy on the basis of prior information obtainable at prenatal care delivery settings. Numerous recent studies have focussed on the identification of relevant rusk factors as the prior information and on defining the adverse outcomes of pregnancy to be discriminated, and also have tried on how to develope scoring system of risk factors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factors as the determinant of pregnancy outcomes. Once the scoring system is established the technique of classifying the patients into with normal and with adverse outcomes wall be easily developed. The scor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to meet the following four basic requirements. 1) Easy to construct 2) Easy to use 3) To be theoretically sound 4) To be valid In searching for a feasible methodology which wall meet these requirements, the author has attempted to apply the "Likeihood Method", one of the well known principles in statistical analysis, to develop such sc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ocess as follows. Step 1. Classify the patients into four groups: Group A^^1 : With adverse outcomes on fetal (neonatal) side only. Group A^^2 : With adverse outcomes on maternal side only. Group A^^3 : With adverse outcomes on both maternal and fetal (neonatal) sides. Group B: With normal outcomes. Step 2. Construct the marginal tabulation on the distribution of risk factors for each group. Step 3. For the calculation of risk score, take logarithmic transformation of relative proportions of the distribution and round them off to integers. Step 4. Test the validity of the score chart. A total of 2,282 maternity records registere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 1982 - December 31, 1982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 "Questionnaire for Maternity Record for Prenatal and Intrapartum High Risk Screening" develop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was used to rearrange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s into an easy analytic for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usk score chart constructed on the basis of "Likelihood Method" is presented in Table 4 in the main text 2) From the analysis of the rusk score chart it was observed that a total of 24 risk factors could be Identified as having significant predicting power for the discrimination of pregnancy outcomes into four groups as defined above They are: (1) age (2) marital status (3) age at first pregnancy (4) medical insurance (5) number of pregnancies (6) history of Cesarean sections (7) number of living child (8) history of premature infants (9) history of over weighted new born (10) history of congenital anomalies (11) history of multiple pregnancies (12) history of abnormal presentation (13) history of obstetric abnormalities (14) past illness (15) hemoglobin level (16) blood pressure (17) heart status (18) general appearance (19) edema status (20) result .of abdominal examination (21) cervix status (22) pelvis status (23) chief complaints (24) Reasons for examination. 3) The validity of the score chart turned out to be as follows: a) Sensitivity: Group A^^1 : 0.75 Group A^^2 : 0.78 Group A^^3 : 0.92 ALL combined: 0.85 b) Specificity: 0.68 4) The diagnosabilities of the "score chart" for a sect of hypothetical prevalence of adverse outcomes were calculated as follows (the sensitivity "for all combined" was used). Hypothetical Prevalence: 5% 10% 20% 30% 40% 50% 60% Diagnosability: 12% 23% 40% 53% 64% 75% 80%-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모자건강관리를 위한 위험요인별 감별평점분류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risk factors for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program with emphasis on developing the risk score system-
dc.typeThesis-
dc.admin.authorfalse-
dc.admin.mappingfalse-
dc.contributor.localIdA02670-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Kwang Ok-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Lee, Kwang Ok-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