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948

Cited 0 times in

산부가 인지하는 임신중의 배우자지지와 분만진통과의 관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upport from husband during pregnancy by pregnant women and labor pain 
Authors
 홍명자 
Issue Date
1990
Description
간호학교육전공/석사
Abstract
[한글]

분만이란 여성의 발달위기 중에 경험하게 되는 상황위기에 속한다. 산부들이 분만과정에 경험하는 분만진통은 단순히 주관적인 증상 이상으로, 이상이 있는 경우 지연분만 난산 태아질식 자궁이완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산부로 하여금 분만과정을 성숙을 위한 경험의 기회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고, 분만진통에 잘 대처하게하여 정상적인 분만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중재해 주어야 한다.

분만진통을 완화해 주기 위하여, 임부의 심리적인 면에 영향을 주는 배우자 지지와 분만진통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위치한 Y대학교 부속병원에 분만을 위해 입원하여 질식분만( Vaginal delivery )를 한 합병증이 없는 산부 74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1989년 8월 21일부터 10월 20일 까지였고,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질문지를 이용한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산부에게 인지된 임신중 배우자 지지 측정도구와 통증강도 ( pain intensity ) 및 통증계수( pain rating scale )를 사용하였다. 산부에게 인지된 임신중 배우자지지 측정도구는, 안황란(1984)이 초임부를 대상으로 사용한 도구를 참조하여 예비조사를 통해 내용과 항목을 첨가하여 22문항으로 개발하였다. 도구의 내용에는 정서적지지, 물리적지지, 정보적지지 및 평가적지지 영역이 포함되어 있고, 내용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을 하였다.

분만진통 측정도구는 최연순(1983)이 산전교육과 분만진통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의 내용은 Melzack이 고안한 McGill Pain Questionare에서 통증강도( Pain intensity )만 발췌하였고, Johnson이 사용했던 통증계수( Pain rating scale )를 함께 사용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체제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산과적 특성은 평균, 표준편차로 기술하였고, 배우자지지와 분만진통과의 관계는 Pearson 적률상관계수의 방법으로, 일반적 특성과 배우자지지와의 관계 및 산과적 특성과 분만진통과의 관계는 Pearson 적률상관계수, t-test 및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지된 임신중 배우자 지지정도는 가능최고점수 110.00 점중 평균이 88.12였으며 최소값이 55.00점, 최대값이 105.00점 이었다.

2. 대상자의 분만진통 정도중 통증강도는 가능최고점수 5.0점중 경관개대 2 ∼ 3 cm시 2.7, 경관개대 5 ∼ 6 cm시 3.7, 경관개대 9 ∼ 10 cm시 3.9였다. 통증계수는 가능최고점수 100.0점중 자궁경관개대 2 ∼ 3 cm시 37.2였고, 경관개대 5 ∼ 6 cm시는 69.3이었으며, 경관개대 9 ∼ 10cm시는 76.9로 나타났는데 분만진통 정도는 자궁경관이 개대하면서 점차 증가되었다.

3. 대상자가 인지하는 임신중의 배우자 지지와 분만진통정도의 관계는 지지의 영역중, 정서적지지, 물리적지지 , 평가적지지는 분만진통과 관계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적지지가 높을수록 분만진통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우자의 정보적지지와 경관개대 5 ∼ 6 cm시의 통증강도와( r = .4126 p < 0.001 ), 배우자의 정보적 지지와 경관개대 5 ∼ 6 cm시 통증계수( r = .4134 p < 0.001 )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대상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인지하는 임신중의 배우자 지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r =-.3331 p < 0.01 ), 특히 물리적지지 ( r =- .3453 p < 0.01 )와 정보적지지( r =- .3530 p < 0.01 )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자궁경관 2 ∼ 3cm시의 분만진통정도가 높을수록 분만 제 1기 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경관 2 ∼ 3 cm개 대시의 통증강도와 분만제1기 시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r = .4673 p < 0.001 ), 자궁경관 2 ∼ 3 cm시의 통증계

수와 분만1기 시간의 관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r =.3634 p<0.01)

또 초산부와 경산부의 통증강도는 자궁경관개대 2 ∼ 3 cm시와 5∼6cm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t= 2.83 p<0.01, t=2.29 p<0.05 ), 경관개대 9 ∼ 10cm시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초산부가 경산부보다 높은 진통정도를 호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산부가 인지하는 임신중 배우자 지지중 정서적지지, 물리적지지 평가적지지는 분만진통과 관계가 없었으며, 정보적지지가 분만진통과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순상관관계를 보여 분만진통완화에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보다 심층적으로 정보적지지의 내용과 개인의 특성에 따른 정보적지지 수용의 차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Delivery can be viewed as one of the developmental crisis that forces the majority of women. During the labor and delivery process the women may face a variety of problems pain with all its subjectivity .

For nurses. this is an appointments to help the women check with the crisis and the pain and to successfully carry through the labor and delivery.

This study done purpose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upport during pregnancy and the intensity and amount of pain during labo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74 pregnant women in the delivery Room in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y had been admitted for a vaginal delivery and had no complication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August 21th to October 20th by means of three instruments, a perceived Husband support scale, a pain intensity scale and a pain rating scale.

The perceived husband support scale was a 22-items scale which was developed Ahn (1984) and with some additional items included by researcher.

Both the pain intensity scale and pain rating scale were used by Choi (1983) to measure Labor pain. The pain intensity scale was developed by Melzack and the pain rating scale was developed by Johnson.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the SPSS program using percentil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each area and t-tests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perceived support from husband, the minimun score was 55.00, the maximum score was 105.00 and the mean was 88, 12

2. The score on the pain intensity scale at 2-3 cm cervix dilatation was 2.35, at 5-6 cm cervix dilatation, 3.66 and at 9-10 cm cervix dilatation 3.93 The score on the pain rating scone at 2-3 cm cervix dilatation was 37,16 at 5-6 cm cervix dilatations 69,26, and at 9-1O cm cervix dilation, 76,96, indicating an increase in pain as labor proceeded

3.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abor pain and perceived support from husband for the emotional, physical or evaluative Support.

Bu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abor pain and perceived support from husband for iformational support.

pain intensity at 5-6 cm dilatation of cervix r= .4126 p <0.001

pain rating scale at 5-6 cm dilatation of cervix r= .4134 p < 0.001

4. Ag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relation to perceived support from husband (r=-.3331 p<0.01 )

5.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abor pain at 2-3 cm dilatation of the cervix and the time for the first stage of Labor

pain intensity (r=.4673 p<0.001)

pain rate (r=.3634 p< 0.01 )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pain intensity at 2-3 cm dilatation of cervix (t=2.83 p<0.01) pain intensity at 5-6 cm dilatation of cervix (t=2.29 p < 0.05)

This information can be utilized as data to further the under standing of pain during Labor, nursing care and the perceived husband support for women in Labor, especially during the first stage of Labor.

No significant correlation found between Labor pain and perceived support from husband for the emotional, physical or evaluational support but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abor pain and perceived support from husband for informational suppor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56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15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