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597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 의사의 지역적 분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Geographic distribution of physicians in nonmetropolitan area of Korea 
Authors
 김춘배 
Issue Date
1996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의사의 지역적 분포의 변이와 그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수요 극대화라는 전통적 입지 모델로 설명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중회귀 모형을 적용하여 검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 중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 등 6개 광역

자치단체를 제외한 전국 163개의 시·군 지역에서 개원하고 있는 의사이며 분석단위는 지역이다. 연구자료로는 기초자치단체별로 발행된 '1995년 통계연보'와 행정지도 및 1994년 대한의학협회에서 발행한 '1994년 회원명부' 등을 이용하였는데, 지난 1996년 2월부터 4

개월동안 143개 시·군 지역으로부터 관련 자료가 수집(87.7%)되어 분석에 사용하였는 바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개원 의사의 지역적 분포를 총괄적으로 보면, 143개 연구대상지역의 1994년 전체 인구천명당 1차진료담당의 총 개원 의사수는 시·군 지역간차이는 약 0.1명으로 도시규모의 크기에 따라 의사의 지역적 분포가 크게 달라지고 있었다. 특히 이를 의사의 전문과목별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면, 인구천명당 1차진료과 의사수는 군지역에서 많았던 반면에 인구천명당 특수전문과 의사는 도시지역에 더 많이 입지하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인구천명당 각 권역별 의사 집중도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인구중심지로부터 행정권역이 넓어질수록 시·군 지역 모두 공통적으로 그 평균값이 증가하였으며, 시지역에 있어서는 모두 양(+)의 값을, 군 지역에서는 모두 음(-)의 값을 보였다. 이는 시 지역의 행정구역 면적이 군 지역보다 더욱 좁기 때문이며, 또한일정 지역의 해당권역내에 분포해 있는 의사들 뿐 만 아니라 이 권역에 포함되는 인접 타 시·군 지역의 의사들이 다수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2. 인구천명당 1차진료과 개원 의사수와 1차진료담당 총 개원 의사수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 검정에 있어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그 수정결정계수 값은 각각 44.68%와 70.04%로 설명력이 높았다. 한편 각 모형별 회귀계수 유의

성 검정결과, 종속변수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변수로는 인구천명당 1차진료과 개원 의사수의 모형에서는 인구천명당 0-5km권역 의사 집중도, 인구천명당 약사수와 인구천명당 병원수 등 6개의 변수들이, 또한 인구천명당 총 개원 의사수의 모형에 있어서는 인구천명당 약사수, 인구천명당 0-5km 권역 및 5-lOkm 권역 의사 집중도 등의 4개 변수였다. 그리고 Tobit 다변량분석을 적용한 인구천명당 특수전문과 개원 의사수의 모형에서는 시·군지역 여부, 인구천명당 0-5km 권역 의사 집중도 및 인구천명당 약사수등의 5개 변수가 유의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우리나라 개원 의사들의 지역적 분포는 기초자치단체의 인구규모의 크기로 구분되는 시·군지역간에, 특히 의사의 전문과목별로 유의한 변이를 보였으며 이런 지역간 변이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0-5km 권역의 의사 집중도, 인구천명당 약사수 등이 유의하였다. 이로 보아 거시적 측면에서 가정의학과, 내과 및 소아과 등의 1차 진료과에 해당하는 의사들은 농어촌지역에, 정형외과, 이비인후과 및 안과 등의 특수 전문과로 개원한 의사들은 도시지역에 더 유의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일정 한 지역에 진입하게된 후 미시적 측면에서의 입지행태를 보면, 그 지역의 행정구역 중 다른 권역보다는 0-5km 권역내의 인구중심지에 주로 집중화되었다 이런 결과를 사회후생학적으로 평가해 볼 때 우리나라의 개원 의사의 시·군지역간 지역적 분포의 특징으로 1차 진료과 의사들보다 특수전문과 의사들이 도시지역에, 그리고 모든 의사들이 일정 지역내의인구중심지에 집중하는 경쟁적 균형상태의 입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지역보건법의 제정으로 지역사회보건계획을 기초자치단체 중심으로 추진할 계기가 마련되었기 때문에 보건기획담당자는 개원 의사의 입지에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각 기초자치단체별로 지역주민 건강증진의 향상에 필요한 의사를 유인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location competetion for demand maximization by central place theory among physicians in nonmetropolitan areas of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primary care physicians distribute themselves evenly from urban communities to rural communities. The subspecialists, however, cluster together in major cities rather than decentralize themselves in rural counties. This study establishes the three statistical models : primary care physicians, subspecialist physicians, and total physicians. Two models of primary care physicians and total physicians have a strong significance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p=0.0001). The primary care model explains approximately 45% of the variation and the total physicians model explains approximately 70% of the

variation in physician/1,000 population ratios across national counties. The subspecialist physicians model analyze the tobit regression because of the left censored and truncated values(57 cases = 0). In all three models, analysis of the coefficients for physician centralization degrees in the 0- to 5- and 5- to 10-km

rings around the core county reveals each a positive and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se degrees and the physician/1,000 population ratios in the core county. Also, the results provide moderate evidenc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 physicians and community hospitals is competi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 physicians and pharmaceutists is synergistic. This suggests that public policy makers and local self-governing bodies must take an active role to ensure provider availability and the regional health planning in all nonmetropolitan areas

of Korea.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14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