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094

Cited 0 times in

지역별 의료이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Other Titles
 A determinants analysis on regional variation of health care utilization 
Authors
 김양균 
Issue Date
1995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도시 ·농어촌 지역간 의료공급의 차이가 뚜렷하게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역간 의료이용수준에는 큰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의료공급이 부족한 농촌지역에서 의료이용 수준이 높았던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현행 우리나라의 중진료권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중진료권이 속한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도시지역, 도시와 농어촌 혼합지역, 농어촌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의료보험 연합회의 1992년 조합별 결산자료와 도시행정 연구소의 전국 통계연감을 이용하였다. 세지역간의 의료공급요인, 의료필요요인,

그리고 의료이용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지역간 의료이용의 차이가 생긴 원인을 구명하고자 의료공급요인과 의료필요요인을 각각 또는 모두 통제한 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지역간 의료이용의 차이를 크기와 그 부호의 변화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1, 의료공급 수준은 보건의료기관수를 제외한 의사수, 병상수, 그리고 일반의료기관수에 있어 도시지역, 도시와 농어촌 혼합지역, 그리고 농어촌 지역순으로 높았으며 보건의료기관수는 농어촌지역, 도시와 농어촌 혼합지역, 도시지역 순으로 높았다.

2. 의료필요변수에 해당하는 연령구조와 사회경제적인 여건의 지역별 차이를 보면 도시지역은 영유아 인구와 9세 이하 및 25세에서 44세 까지 청장년의 인구비가 높은 반면 농어촌 지역의 경우에는 55세 이상의 장년인구비와 노년인구비가 높았다. 사회경제적인 여건을 보면 도시지역은 농어촌 지역에 비해 지역소득이 높고 의료가격에 해당하는 건당 외래본인부담액이 높았다.

3. 농어촌 지역의 의료공급이 취약함에도 불구하고 의료이용 수준은 농어촌지역이 도시지역이나 도시와 농어촌 혼합지역에 비해 입원수진율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외래수진율에서는 오히려 높았다. 그러나 의료필요요인을 통제하면 지역간 의료이용수준의 차이는 유

의하지 않으나 그 크기가 줄어 들어 이러한 원인이 의료필요변수의 차이 때문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의료보험 연합회 연보를 이용하여 도시와 농어촌 지역의 연령 차이를 교정한 후 의료이용수준차이를 분석하면 도시지역이 농어촌 지역보다 입원수진

율과 외래수진율 모두 높아 위의 사실을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농촌 지역에서 지역간 의료이용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은 연령구조의 차이 등에 따른 의료필요요인의 차이 때문에 기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4. 취약한 의료공급을 가지고 있는 농어촌 지역의 전체 외래수진율이 도시지역이나 도시와 농어촌 혼합지역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던 또 다른 이유는 농어촌지역의 보건의료기관이 전체 외래수진율에 기여하는 비중이 25.3%로써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건의료기관은 의료공급이 취약한 농어촌 지역의 의료 접근도를 높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eterminants what regional medical utilization variation did not exist no matter which regional variation of medical supply and need existed. The summary data o( fiscal year 1992 Medical Insurance Program for Self-employeds obtained from national federation of medical insurance and the data of year 1992 national statistical yearbook obtain from institute of city administration were used for the study.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xcept for regional public sector medical institute allocation, Medical supply distribution as doctors per capita, beds per capita, and privite sector medical institute, were ranked SMSA area, unban and rural mixed area(Mixture area), and

rural area, and this fig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medical supply was centralazed in urban areas.

2. Regional age structure and socio-economic condition were different between 3 areas and both figu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provides evidence for existence of regional medical need variation.

3. Although there was uneven distribution in regional medical supply, rural are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MSA and mixture area in inpatient medical utilization and was higher than SMSA and mixture area in outpatient medical utilization. this result caused that regional age structure was different. so that

old-age insuree of rural area was much more than different 2 areas and also this group medical utilization was higher than the 2 areas.

4. Rural public sector medical institutes supplement well medical supply shortage of rural area. And outpatient public sector medical utilization increases significantly total outpatient utiliz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12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