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758

Cited 0 times in

기독교인의 신앙성숙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Authors
 계인선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수명은 연장되고 질병양상은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건강관리 방법이건강증진이다. 건강증진은 생활양식의 변화를 통해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 증진하려는것으로 최적의 건강이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건강의 균형상태를 말한다. 그러나 영적인 세계에 대한 믿음이 거의 쇠퇴해 가는 현대인들은 종교 자체가 건강에 어떤 영향력을 갖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갖지 못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들의 신앙성숙 정도에 따른 건강증진생활양식 및 건강상태의 관계를 파악하여 기독교인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계획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불어 신앙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현재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기독교인 100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된 설문지 449부를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0월 18일부터 11월 1일까지 15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5문항, 신앙성숙과 관련된 16문항, 건강증진생활양식 35문항,건강상태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일반적 특성과 신앙성숙 정도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일반적특성/신앙성숙에 따른 건강증진생활양식 및 건강상태의 차이는 군비교(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으며

사후비교는 duncan방법을 사용했다. 신앙성숙, 건강증진생활양식,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선 분석변인을 먼저 살펴보면 신앙성숙은 최대평점 4점에 대해 3.04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앙성숙의 구성내용별로 보면 믿음의 내적변화 평점(3.3)이 외적생활변화 평점(2.8)보다 높았다. 건강증진생활양식은 최대평점 4점에 대해 2.76점으로 보통 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는데 그 하위변인을 살펴보면 기호품제한(3.20)이 가장 높았으며 스트레스 관리(2.94), 대인관계(2.90), 규칙적 생활(2.85), 건강관리(2.2)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최대평점 4점에 대해 2.85점으로 보통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신앙성숙을 살펴보면 연령(P=.0001), 성별(P=.0001),결혼여부(P=.0005), 신앙생활기간(P=.0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

체적으로 연령은 35세 이상인 집단이 35세 미만인 집단보다. 여자가 남자보다, 기혼자가 미혼보다 신앙성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앙생활기간은 30년 이상 신앙생활을 한 집단이 신앙성숙이 가장 높고 10년 이하인 집단이 신앙성숙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신앙성숙에 따른 비교를 위해 연구대상자의 신앙성숙 평점 3.04를 기준으로 3.04이 상을 높은 군, 3.04미만을 낮은 군으로 구분하였는데 높은 군의 평점은 3.5, 낮은 군은 2.5의 평점을 보였다. 또한 높은 군과 낮은 군의 신앙성숙의 차이는 믿음의 내적상태(Δd=

0.88)보다는 외적상태(Δd=1.14)에서 더 큰 차이를 나타냈다.

4. 신앙성숙정도에 따른 건강증진생활양식 비교에서 신앙성숙이 높은 군이 건강관리(P=.0007), 스트레스관리(P=.0000), 대인관계(P=.0000), 규칙적 생활(P=.0000), 기호품제한(P=.0000) 등 모든 영역에서 신앙성숙이 낮은 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신앙성숙정도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에서도 신앙성숙이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해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4).

6.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매개변인으로 한 경로모형에서 신앙성숙은 직접적으로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지 못하나 스트레스관리, 대인관계, 규칙적 생활을 통해 간접적으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건강상태에 대한 설명변인들의 전체효과는 신앙성숙(0.19), 대인관계(0.19), 스트레스 관리(0.17), 규칙적 생활(0.16), 건강관리(0.09), 기호품제한(0.03) 순이었으며 건강관리, 기호품제한은 전체효과에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앙성숙, 건강증진생활

양식, 건강상태에 대한 경로 모형의 설명력(F=20.07, P<.001)은 21%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서 같은 기독교인이라도 신앙성숙에 따라 건강증진생활양식 및건강상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신앙성숙이 높을수록 건강증진생활양식의 수행정도가 높고, 건강상태도 좋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신앙 자체가 건강상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건강증진생활양식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간접적으로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것은 건강증진생활양식이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직접적인 변수임을 나타내는 결과로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서는 건강증진생활양식의 수행이 필수적임을 확인 할 수 있는 연구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의 일부 교회에 출석하는 대상자를 편의 추출한 것이므로 전체 기독교인의 특성으로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기독교적 입장에서 연구가 이루어 진 것이므로 타종교에 대한 편견을 불러일으킬 수가 있으므로 타종교나 혹은 종교인과 비 종교인에 대한 비교연구도 고려해 볼 필요가

[영문]

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 status and maturity of one's Christian faith, to provide data for health promoting programs for Christian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faith on people's health.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 random sample of 1000 Christians of which 449 returned the survey. Data collection was done during the period between October 18 and November 1, 1998.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aturity of Christian Faith scale by H.S. Choi(1986),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by H.Y. So et al (1995), modified by the investigator,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by Ware (1978).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α,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duncan method which is a multiple comparison, and with path analysis using SAS-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religious maturity was 3.04 on a scale of 4.0, which, in detail, showed that the internal faith-affecting-factor was 3.3 and the external faith-affecting-factor was 2.8. The score for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2.76 on a scale of 4.0. Among the sub-variables, the highest score was for restrictions in the use of instant food, drinking & smoking at 3.20; stress management, 2.94; personal relationships, 2.90; daily lifestyle, 2.85; and health management, 2.2 which was the lowest. The health status mean score was 2.85,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2. The result showed that the maturity of Christian faith is affected by one's age (P=.0001), gender (P=.0001), marital status (P=.0007), and the duration of Christian life (P=.0001). More specifically, those who were 35 years or older showed a higher in maturity score than those 35 years or younger, women had a higher faith score than men, and married, higher than single. Furthermore, those who had lived a Christian life for 30 years or more had the highest maturity level score, and those who had been a Christian for 10 years or less had the lowest Christian maturity level score.

3. The results of dividing the subjects on the basis of the mean score for religious maturity, 3.04 into two groups were as follows: the high group had an average of 3.5 and the low group, 2.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internal factor, 0.88 and the external factor, 1.14.

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group exercised a bettor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an the low group in every area of life. For example, health management (P=.0007), stress management (P=.0000), personal relationship (P=.0000), daily lifestyle (P=.0000), and restriction of instant food, drinking & smoking (P=.0000).

5. In regard to the health statu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The high group was in the higher level (P=.0024).

6. The path model of Religious Maturity,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Health Status showed that Religious Maturity had no direct impact but an indirect impact on the health status through stress management, personal relationship, daily lifestyle. Religious Maturity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accounted for 21% of the variance in Health Status.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maturity of one's Christian faith.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e mature the subjects were in their Christian faith, the higher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health status was.

There needs to be further in depth and broader study of people of other religions, as well a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religious and non-religious peopl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70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11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