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6 820

Cited 0 times in

직업 불안정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psychosocial distress 
Authors
 한순실 
Issue Date
2003
Description
역학및건강증진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직업 불안정은 세계적으로 지난 20년 동안 조직의 환경이 빠르게 변함에 따라 스트레스와 함께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직업 불안정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연구는 자동차 공장의 생산직 근로자, 백화점 서비스직 근로자, 세무직 공무원과 일반직 공무원, 중소무역회사의 사무직 근로자 840명(남자 643, 여자 197)을 대상으로 하였고, 2003년 3월 3일부터 5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직업 불안정에 대한 평가는 JCQ(Job Contents Questionnaire)를 이용하였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은 PWI-SF(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직업 불안정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상을 남녀로 구분하였으며 연령, 근무 기간, 고용 형태, 학력, 직무 요구도, 직무 재량도, 사회적 지지, 가족의 지지, 성격을 보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자에서는 직업 불안정이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았고 사회적 지지가 높거나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가 높은 경우 또는 B 형 성격에 가까울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감소했다. 여자에서는 직업불안정이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직업 불안정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증가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직업 불안정의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며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경제적 제도의 보완과 근로자들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영문]

Objective: This cross-section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psychosocial distress among workers. The case group consists of 643 male workers and 197 female workers who were working at a automobile manufacturing company, department stores, a IRA office and a government office, med-sized trade corporations in Korea.

Methods: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n job insecurity, job stress,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personality and psychosocial distress. Job insecurity,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using Karasek''s JCQ(Job Content Questionnaire) and psychosocial distress was measured using Dr. Chang''s PWI-SF(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male workers group, job insecurity was related to higher psychosocial distress. High social support, high family support and personality Type B were related to lower level of psychosocial distress. But in female workers, job insecurity was correlated to an increased psychosocial distres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job insecurity was related to higher psychosocial distress. It i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job insecurity and to provide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minimize psychosocial distress caused by job insecurity. It also needs to improve the social and welfare policies to protect Korean workers from psychosocial distress.
Files in This Item:
T00779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95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