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 406

Cited 0 times in

여고생의 흡연 유혹 관련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emptation to smoke in high school girls 
Authors
 이은림 
Issue Date
2003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여고생의 흡연 유혹을 파악하고, 여고생의 흡연 유혹 관련 요인의 특성 및 흡연 유혹 관련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서울의 1개 여자 고등학생 1009명을 대상으로 2003년 4월 21일부터 4월 25일 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응답자가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여 조사하였다. 최종분석에는 969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문에 참여한 학생은 1학년 353명, 2학년 263명, 3학년 353명이었으며,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이 10.1%이었고, 흡연 경험자의 평균 흡연 기간은 22개월이었다.

2. 여고생이 경험하는 긍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은 평균 9.1점,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은 평균 9.4로 흡연 유혹을 느끼지 않았다.

3. 흡연 경험에 따른 흡연 유혹은 긍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이 비흡연군에서 8.4점으로 흡연 유혹을 느끼지 않았으나, 흡연군에서 15.7점으로 흡연 유혹을 느꼈다.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이 비흡연군에서 8.6점으로 흡연 유혹을 느끼지 않았으나, 흡연군에서 16.4점으로 흡연 유혹을 느꼈다. 흡연군은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을 모두 느꼈지만 긍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 보다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을 더 많이 느꼈다.

4. 여고생의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사회학적 요인은 학년, 언니 흡연, 오빠 흡연, 경제 수준, 흡연 기간이었으며, 학교 생활 요인은 성적이었고, 사회 환경 요인은 음주 경험, 흡연 권유, 미디어의 흡연 장면 시청, 아르바이트 경험, 용돈 수준, 오락실 출입이었다.

5. 긍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은 미디어의 흡연 장면 시청이 37.8%, 친구의 흡연이 12.3%, 언니 흡연 9.2%로 이 세 요인이 긍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의 59.3%를 설명하였다.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은 친구의 흡연이 17.7% 미디어의 흡연 장면 시청이 7.2%로 이 두 요인이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의 24.9%를 설명하였다.

6. 비흡연군과 흡연군의 흡연 유혹 관련 요인은 비흡연군의 경우 긍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은 아르바이트 경험이 7.5% 흡연 권유 경험이 5.0% 미디어의 흡연 장면 시청이 3.4% 오락실 출입 경험 2.0%, 본인의 음주 경험 1.2%, 친구 흡연 0.9%로 이 여섯 가지 요인이 긍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의 20.0%를 설명하였으며,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에서는 오락실 출입 경험이 4.6%, 흡연 권유 3.0%, 미디어의 흡연 장면 시청 2.4%, 아르바이트 경험 1.5%, 본인의 음주 경험 1.2%, 학년 0.6%로 이 여섯 가지 요인이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의 13.2%를 설명하였다. 흡연군의 경우 긍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은 친구 흡연이 30.1%, 미디어의 흡연 장면 시청 11.4%로 이 두 개의 요인 긍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의 41.5%를 설명하였고,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은 친구 흡연이 29.1%, 미디어의 흡연 장면 시청 4.9%로 두 개의 요인이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의 34.0% 설명하였다

7. 흡연군과 비흡연군의 흡연 관련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친구 흡연이 1.602배, 미디어를 통한 흡연 장면 시청 시 3.573배, 교내 서클에 참여하는 학생은 0.51배, 오락실 가는 학생이 2.747배로 흡연 할 위험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여고생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로 인한 흡연 유혹은 미디어의 흡연 장면 시청 시, 친구의 흡연 시 유발될 수 있다. 그리고 여고생의 흡연 유혹 관련 요인과 흡연 관련 요인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흡연 유혹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흡연 예방 교육은 비흡연군과 흡연군을 구분하여 실시하여야 하며 비흡연군의 흡연 예방 교육에는 흡연 권유 및 흡연 유혹 발생 장소에 가지 않도록 교육할 것과 더불어 음주 예방 교육을 함께 실시할 것을 제안하고, 흡연 여고생을 대상으로 하는 금연 프로그램에서는 다시 흡연을 시도하게 되는 상황에서 흡연 유혹을 거절하는 역할극의 실시와 여고생의 우울 및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이완 요법, 자기 통제 훈련 등의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또한 흡연 유혹을 받는 초점 집단(focus group)을 대상으로 하는 질적 연구를 제언하고, 흡연 장면이 포함한 프로그램의 방영의 제한을 제안한다

[영문]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emptation to smoke by high school girls, analyze factors related to temptation to smoke, and analyze factors related to smoking in high school girls. A convenience sample of 969 high school girls living in Seoul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smoking.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21 to April 25, 2003.

The research instrument was the Smoking Temptation Measure (DiClemente et al. 1990, Chang & Park. 200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t-test, AVOVA, Stepwis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353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263 in the second and 353 in the third. The smoking experience rate was 10.1% and the average length of time, 22 months.

2. The high school girls who did not feel a temptation to smoke had an average score of 9.1 for ''temptation from situations positively affecting mood'' (positive temptation) and 9.4 for ''temptation from situations negatively affecting mood'' (negative temptation).

3.But as smoking experience increased, scores for positive temptation averaged 15.7 for the smoking group who felt a temptation to smoke compared to 8.4 for the nonsmoking group who did not feel a temptation to smoke and for negative temptation, 16.4 for the group that smoked compared to 8.6 score for the nonsmoking group. Even though the group that smoked felt both positive and negative temptation they felt more negative temptation than positive temptation.

4.Factors related to temptation to smok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n high school girls were as follow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were year in school, older sister who smoked, older brother who smoked, economic status and duration of smoking experience. The only school factor was grades.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rinking, invitations to smoke, watching media involving smoking, having a part time job, amount of pocket money, going to video game parlors.

5.For positive temptation, the variables watching media involving smoking 37.8%, friend who smokes 12.3%, and older sister who smokes 9.2%, contributed to explaining 59.3% of the variance and the three factors indicated a temptation from situations positively affecting mood. For negative temptation the factors, friend who smokes 17.7%, and watching media involving smoking 7.2%, explained 24.9% of the variance and the two factors indicated a temptation from situations negatively affecting mood.

6.Nonsmoking group for positive temptation, variables of having part time job 7.5%, invitations to smoke 5.0%, watching media involving smoking 3.4%, going to video game parlors 2.0%, drinking experience 1.2%, friend who smokes 0.9%, contributed to explaining 20.0% of the variance and the six factors indicated a temptation from situation positive affecting mood. For negative temptation the factors, going to video game parlors 4.6%, invitations to smoke 3.0%, watching media involving smoking 2.4% having a part time job 1.5%, drinking experience 1.2%, year in school 0.6%, explained 13.2% of the variance and the six factors indicated a temptation from situations negatively affecting mood. For positive temptation, the variables for the group that smoked were a friend who smokes 30.1%, watching media involving smoking 11.4%. These two factors contributed to explaining 41.5% of the variance and the two factors indicated a temptation from situations positively affecting mood. For negative temptation the factors, friend who smokes 29.1%, and watching media involving smoking 4.9%, explained 34.0% of the variance and the two factors indicated a temptation from situations negatively affecting mood.

7.Analysis showed that risk factors for smoking in high school girls were having a friend who smokes at 1.602 times, watching media involving smoking, 3.573 times, participating in circle activities at school 0.51 times and playing video games, 2.747 times.

In conclusion, temptation to smoke, both from situations positively affecting mood and situations negatively affecting mood was influenced by watching media showing people smoking and having a friend that smok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ed factors for temptation to smoke and actually smoking, but a difference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temptation to smoke. So it is recommended that education about not smoking for students who do not smoke should include information on alcohol abuse and avoidance of places where there will be a temptation to smoke or where the student will be urged to smoke.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smoke education should include not only smoking cessation but also role play on overcoming situations where smoking might be resumed. It is also recommended that relaxation programs to cope with depression and stress as well as programs towards self control should also be developed for high school students. Research focusing on temptation to smoke should be done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ith focus groups. It is recommended that scenes involving smoking on television should be decreas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5729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93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