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2 1028

Cited 0 times in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ors and psychosocial well being in home health nurses' 
Authors
 윤영미 
Issue Date
2003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심리적인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알아내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2003년 4월 3일 가정전문간호사회 총회에 참석한 가정전문간호사 전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중 123부가 회수되어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도구는 문헌고찰과 델파이 기법을 응용하여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도구는 장세진(2000)의 PWI SF 18문항을, 사회적지지 도구는 Krasek(1982)의 도구를, A형행동유형은 Framinghan(1978)의 도구, 그리고 자아존중감 도구는 Rosenberg(1965)의 단축형 도구를 이용하였다.

가정간호 직무스트레스의 요인별, 문항별 점수는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검증은 t-test와 ANOVA를 이용하였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서 각 독립변수에 따른 가정전문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차이에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회적 심리적 스트레스와 제 변수의 상관관계에는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변수들의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최대 평점 5점에 대해 평균 평점 3.46으로 중정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보면 ‘환자직접간호’ 요인이 3.78로 가장 높았고, 문항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살펴보면 ‘방문시 교통사고나 위협을 느꼈을 때’의 스트레스 정도가 4.1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가정방문시 예기치 못한 의료사고 발생시’가 4.06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에서는 유의한 차의를 보이지 않았고 직무관련 특성에서 연급여액이(p<0.05)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스트레스정도는 연령, 학력, 결혼, 연급여액, 등이 각각 다른 스트레스 요인에서 스트레스 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정도에서 직위가 낮은 가정전문간호사가(p<0.05), 1주일 근무시간중 법정근로시간 44시간 이상 근무하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정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은그룹이 낮은그룹에 비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이중 ‘의료한계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에 따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정도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은그룹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낮았고(p<0.01), 사회적 지지가 높은 그룹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넷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제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결과 자아존중감(r= -0.455, p<0.01)과 사회적지지(r= -0.237, p<0.01)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가정전문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직위가 낮을수록, 병⋅원소속인 경우,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정도가 높았고, 이 4개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설명력은 34%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정전문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보수교육 등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함양하고, 교통사고, 의료사고 등에 대한 의료기관의 대책 및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 등 스트레스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적극 활용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stress on the job and psychosocial well being in home health nurses, and to offer basic data to be used to reduce mental stress.

The researcher distributed 150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123 (82%) home health nurses taking part in the Home Health Nurses'' National Conference held on April 3, 2003. Study instruments were a measure of job stress in home health nurses, a 34-question too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from literature review, telephone interviews, and e-mail. Stress for home health nurses related to psychosocial well being was measured with the 18-question PWI SF (Jeong, Sei-jin, 2000). Social support was measured with a tool by Krasek (1982), personality (A type of behavioral pattern) with a tool by Framinghan (1978) and feeling of self-esteem with the shortened tool by Rosenberg(1965).

Data were statistically computed with the SPSS, PC program. Scores for job stress were analyzed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traits were examined with t-test and ANOVA.

Stress related to psychosocial well being was also analyzed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Student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examine differences in stress related to psychosocial well being according to each independent variabl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other variab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influence of all independent variables on stress related to psychosocial well being.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job stress was 3.46 of a possible 5. ''Direct patient care'' had the highest mean score, 3.78. The maximum score for any question on job stress was 4.11 for ''Feeling threatened while making a home visit or having a traffic accident while visiting'', followed by ''Unexpected medical situation during a home visit, 4.06.

2. There were no general trait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job stress but length of time in job was related to job stress (p<0.05). There were differences in degree of job stress according to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position. The highest level of stress was in the group 30-39 years of age, those nurses who had post basic degrees and single nurses.

3. The general traits related to stress related psychosocial well being were job position (p<0.05) and work hours per week (p<0.05). The legal amount of work required per week is 44 hours but for home health nurses there was a lot of overtime work and it was stressful (p<0.05). The degree of stress related to psychosocial well being was high for nurses whose job stress was high compared to those whose job stress was low but only ''Psychological stress due to limits in medical treatment'' (p<0.05) was significant. For social support and self esteem,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stress related to psychosocial well being was low for nurses with high self esteem (p<0.01) and for nurses who had high social support (p<0.05).

4.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related to social well-being and self-esteem (r= -0.455, p<0.01) and between stress related to soci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r= -0.237, p<0.01)

5.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actors of low self esteem, low job position, working in a hospital based home health service and low social support led to high level of stress. These four factors explained 34% of the variance in degree of stress related to psychosocial well being.

To reduce or prevent job stress in home health nurs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each individual nurse should make the best effort to develop sufficient knowledge and nursing skill to effectively meet any patients condition that requires special skills. Medical institutions should offer sufficient support related to security problems of driving or visiting in patients'' homes. Hospitals with staff in low positions and a lot of overwork need to develop policies to reduce stress. Support should be also given providing home health nurses with stress control programs that make the best use of factors influencing stress reduction, such as social support or feeling of self-esteem.
Files in This Item:
T00771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92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