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8 562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 사산의 위험요인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isk factors of stillbirth in Korea 
Authors
 한영자 
Issue Date
2003
Description
보건학과/박사
Abstract
[한글]



태아기의 건강은 주산기 사망과 영아사망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동기의 건강, 성인병과도 관련이 있다. 태아의 생존은 모체의 건강상태, 지역의 환경위생 및 사회․경제적 여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자녀수가 감소되면서 건강한 자녀 출산에 대한 기대는 높아지고 있으나, 환경오염 증가, 흡연, 음주, 약물복용과 같은 건강행동의 변화로 태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위해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태아기 건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산은 아직 그 원인이 잘 밝혀져 있지 않으며, 우리나라에서 사산연구는 아주 드믄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산의 양상은 어떠한지 그리고 사산의 위험이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999․2000년 기간중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사산아 전수와 1999년도 전체 출생아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의 임신 이전 건강상태와 사산아 발생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서는 모의 임신전 건강검진 자료와 출생아 및 사산아 자료와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산아 분율 남아의 사산아 분율이 여아에 비해 높았으며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출생체중이 낮을수록 그리고 다태아인 경우 사산아 분율이 높았다. 모 연령에 따른 사산아 분률은 10대와 35세 이후에서 높아 U자 모양을 보였다. 재태기간이 조산에 해당하는 24~27주인 경우 사산아 분율이 높았으며, 재태기간이 짧을 경우에는 정상체중집단에서도 높은 사산율을 보였다. 모 연령이 15~19세인 경우는 모든 출생체중군에서 사산아가 차지하는 분율이 높았다. 다태아의 경우 단태아에 비해 사산분율이 4배 이상 높았으나 동일한 출생체중구간에서는 단태아의 사산율이 다태아보다 오히려 높았다. 2. 사산아 발생 위험 출산아의 체중과 사산 발생위험은 연관성이 가장 컸다. 출생체중이 1000g미만인 경우 출생체중 3500~3999g에 비해 사산위험은 999.9배였으며, 재태기간 24~27주인 경우 사산위험은 재태기간 37주 이상에 비해 999.9배였다. 10대 모에서 사산 발생 위험이 가장 높아 25~29세 모를 기준으로 할 경우 5배에 달하였으며, 35~39세 2.3배, 40세이상 연령군에서 3.7배로 증가하였다. 단태아에 비해 다태아의 사산 위험은 4.8배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다변량분석 결과 모 연령과 태수에서 사산 위험비는 단변량분석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모 연령 20세 미만에서만 사산 발생 위험이 높았고 다른 연령군에서는 모 연령에 따른 사산 발생 위험이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35세 이상 초산부에서 사산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35세 이상 초산부에서도 사산 위험의 증가를 볼 수 없었다. 태수에서도 다른 변수를 통제한 후에는 다태아의 사산 발생 위험이 단태아에 비해 오히려 낮았다. 3. 검진결과와 사산 발생위험/ 본 연구에서는 비만을 측정하기 위한 2가지 지표를 사용하였는데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에서 산출한 “체중지표에 의한 비만도”에서 비만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사산아 발생 위험이 70% 정도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비만지표중 “BMI”는 사산위험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우리나라에서는 BMI가 비만을 측정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지표인 것으로 생각된다. 2가지 지표간의 차이의 이유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혈중 헤모글로빈이 정상보다 낮은 수준(80~99 g/L)인 여성에서 사산발생 위험이 정상 기준군(120~139 g/L)에 비해 3.1배 높았으며, 정상보다 높은 군에서도 사산위험이 약간 높아져 140~159g/L에서 1.3배, 160g/L 이상에서 1.6배였다. 정상 혈압군(수축기 120 이하, 이완기 80 이하)에 비해 높은 혈압을 가진 “수축기 160 이상, 확장기 100 이상 여성”과 “수축기 180 이상, 확장기 110 이상 여성”에서 사산아 위험이 각각 3.5배, 4.8배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출산체중, 재태기간(임신주수), 성별이 사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거주지에 따른 사산분율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 연령과, 태수는 단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간 차이가 있었다. 여러 변수의 영향을 통제할 경우 모 연령의 영향은 10대에서 높았고 그 이외 연령군에서는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태수의 경우 다변량 분석에서는 다태아의 사산 위험비가 낮아져 단변량과 반대의 결과가 나오고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Fetal health not only affects perinatal and infant mortality, but also is profoundly associated with childhood health and lifestyle disease. It has been known that the survival of the fetus is influenced by health of the mother, the environmental hygiene and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the community. Although the expectation of healthy birth has increased with the decreasing number of child per couple, the risk factor on the fetus has increa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behavioral change such as cigarette smoking, drinking and drug abuse.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of the fetus, the cause of stillbirth is still unknown and the study on the stillbirth is very rar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pattern of stillbirth an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stillbirth in Korea. The author has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live birth of 1999 birth cohort and total stillbirth that occurred during 1999 and 2000 in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pre- pregnancy health and the occurrence of stillbirth, the health examination results of the mother before pregnancy was linked with the data of the stillbirth and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Distribution of Stillbirth The percentage of stillbirth was higher among male fetuses than among female fetuses. Also, stillbirth rate was high among fetuses of short gestation period, lower birth weight, and multiple pregnancy. The distribution of stillbirth showed an U- shape by the age of the mother which was high among teen age group and 40 years of age or over. The stillbirth rate was high among the premature birth with gestation period of 24~27 weeks. The rate was high among the short gestation period group even they belong to the normal birth weight category. For the mothers between 15~19 years of age, the stillbirth rate was high in every birth weight category. Although the stillbirth rate was 4 times higher among multiple birth than single birth, the rate showed reverse pattern within the same birth weight strata. In fact, the stillbirth rate was high among the single birth if they belong to the same birth weight category.2. The Risk Factor of Stillbirth/The stronges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birth weight and the risks of stillbirth, a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odds ratio was 999.9 among the less than 1,000g birth weight group compared to 3500~3999g birth weight group. The risk of stillbirth for those with 24~27 weeks
Files in This Item:
T00753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89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