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2 815

Cited 0 times in

척수손상 장애인의 자가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Contributing factors for the driving status in spinal cord injury. 
Authors
 김수일 
Issue Date
2002
Description
보건정책및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척수손상 장애인의 실태분석을 통하여 척수손상 장애인의 자가운전에 관한 기초자료 및 자가운전자의 운전적 특성을 제시하고, 자가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척수손상 장애인의 운전 재활 프로그램에 도움을 주고자 함에 있다. 2002년 3월부터 4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퇴원한 뇌 손상이 없는 척수손상 장애인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를 자가운전자군과 비운전자군으로 나누어, 이들의 일반적 특성, 신경학적 특성,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운전적 특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대상자 121명 중 44명(36.4%)이 자가운전을 하였으며, 자가운전자는 남자가 35명(79.6%)으로 여자보다 많았다. 자가운전자군과 비운전자군을 비교했을 때, 자가운전자군은 비운전자군에 비해 평균 연령과 손상 시 연령이 낮았으나, 손상 후 직업과 수입, 사고에 대한 보상을 받은 경우, 일상생활시의 주 보행 수단으로 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이 많았다.

사지마비에서 불완전 손상의 경우 자가운전자군이 많았고, 하지마비에서 불완전 손상의 경우 비운전자군이 많았으며, 완전 사지마비 중 자가운전이 가능했던 가장 높은 신경학적인 수준은 제7경수였다.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은 자가운전자군이 비운전자군에 비하여 통계학적 의의있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사지마비군에서 자가운전자군이 계단 오르기, 걷기 항목을 제외한 모든 세부 항목에서 비운전자군에 비해 통계학적의의 있는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하지마비군에서는 자가운전자군에서 목욕하기, 화장실 동작과, 휠체어 이용 동작 항목에서 비운전자군에 비하여 통계학적 의의있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자가운전자의 차량에 부착된 특수 장치의 종류는 파워핸들, 자동기어 변속기, 수동식 장치였으며, 경수손상 장애인은 잡기 보조장치를 부착하고 있었다.

운전동작의 세부항목에서 사지마비 자가운전자의 경우 하지마비 자가운전자에 비해 자동차 키 사용하여 문 열기, 휠체어 싣고 내리기, 운전좌석 조정하기, 가속. 감속하기, 핸들 조작하기, 주차권 빼기, 주차권 제시 및 주차비 계산하기 항목에서 통계학적인 의의 있게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특히 여러 동작 중 휠체어 싣고 내리는 동작이 가장 어려운 동작으로 나타났다.

자가운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비운전자군은 운전을 한다면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고 78%가 응답을 하였으며, 자가운전자군의 93.2%는 자가운전으로 인하여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회귀분석결과 자가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손상 시의 연령, 손상 후 직업, 사고에 대한 보상, 보행수단, 스포츠 활동, 일상생활 수행능력 등이었다.

이상의 결과 척수손상 장애인의 자가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손상 시 연령, 손상 후 직업, 사고에 대한 보상, 보행 수단, 스포츠 활동, 일상생활 수행능력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척수손상 장애인에게 있어서 자가운전은 삶의 질 향상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향후 척수손상 장애인 재활 치료프로그램에 재활 운전 훈련프로그램이 포함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척수손상 장애인의 재활운전프로그램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s on contributing factors for the driving status in spinal cord injured persons through basic statistics from an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21 spinal cord

injured persons with no evidence of head injury who were treated and discharged from the Department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at Ajou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March 1st, 2002 through April 30th, 2002. Subjects were devided to driver group and non-driver group and compared for their general charateristics, neurologic characteristics, status of ADL(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driving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ty-four of 121 respondents(36.4%) were driving and among them male drivers were 35 (79.6%).

The average age and the ages at the time of injury were lower in the driver group than non-driver group.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s with jobs or sufficient economic supports by the compensation from the accident and those who used wheelchairs daily, and showed more interests in sports activities were more

prevalent in the driver group than non-driver group. Among tetraplegics, incomplete lesions belonged more in the driver group. However among paraplegics, complete lesions were higher in the driver group. Among complete lesions, C7 was the highest level who could drive independently. The mean score of AD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river group than non-driver group. The driver group with tetraplegia had higher ADL scores than the non-driver group, especially in the items of "eating", "toileting", and "transfering". The driver group with paraplegia

also had higher ADL scores in the items of "bathing", "toileting", and "wheelchair mobility" than the non-driver group. All the vehicles were equipped with special devices, including "power steering", "automatic transmission" and "hand controls".

The vehicles for the cervical cord injury were equipped with "grip bars" in addition. For the degree of difficulties in using their vehicles, paraplegics answered that handling the vehicle was easy in every movement, but the tetraplegics expressed that "opening the door by using a key", "moving the wheelchair in and out of their vehicles", "adjusting a seat",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handling", "take out a parking ticket", "pushing a parking ticket and accounting parking fee" were difficult for them to do. Tetraplegics felt that "moving the wheelchair in and out of their vehicles" was too difficult for them to do. For

the question on the effect of driving on their quality of life, 78% of non-drivers responded that driving woul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93.2% of drivers felt that driving had improved their quality of life.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the driving of spinal cord injured persons were sex, age at the time of injury, jobs after their injury, compensations for their accidents, means of ambulation, sports activities, and ADL status. In conclusi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riving status of spinal cord injured persons were sex, age at the time

of their injury, job after their injury, compensation for their accidents, means of ambulation, interest in sports activities, and ADL stat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driver training should be an essential part

of the rehabilitaion program for the spinal cord injured persons to maximize their quality of life in the community.
Files in This Item:
T00708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778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